「며느리 글덕을 입다」

한자 며느리 글德을 입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임진사|임진사의 며느리|금강산 주지
모티프유형 임진사와 금강산 주지의 글짓기 내기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강원도 회양군 장양면 장연리금강산장경봉(長慶峯)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금강산 주지의 횡포를 문장으로써 막아낸 며느리’를 구연한 설화.

개설

「며느리 글덕을 입다」는 글짓기 내기를 통해 인근의 땅을 모두 차지한 금강산 주지의 횡포를 어느 며느리가 문장으로써 막았다는 것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금강산 주지의 강압에 못 이겨 글을 지어야만 했고, 당연히 땅을 빼앗겨야 했던 임진사가 며느리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극복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구연 작품으로 그의 두 번째 자료집인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금강산 자락에 ‘장안사’라는 절이 있었다. 그 절의 주지는 글짓기 내기를 통해 인근의 땅을 모두 차지하고, 또 고리대금을 통해 백성들의 고혈을 빨았다.

어느 날, 주지는 임진사의 땅을 빼앗고자 임진사를 불러 글짓기 내기를 하자 했다. 임진사는 거절했으나, 주지의 위세가 등등해 어쩔 도리가 없었다. 임진사는 주지가 일방적으로 정한 운자(韻字)를 받고 집으로 돌아왔다.

당장 다음 날 아침까지 운자를 바탕으로 ‘금강산의 풍광’을 담은 한시를 써야 했다. 임진사는 끼니를 거른 채 고민했다. 이를 지켜본 며느리가 걱정하지 마라며, 임진사를 진정시켰다. 그러더니 “동방에 금강산이 솟으니 중주에 오악이 낮더라/ 선경에 석굴이 많으니 서왕모가 서쪽에 태어난 것을 한탄하더라.”라는 한시를 지었다. 금강산을 중국의 오악에 빗대면서 서왕모가 금강산에 태어나지 못한 것을 한탄한다는 내용이었다. 글의 기개가 대단했다.

임진사는 며느리가 지은 한시를 갖고 주지를 찾았다. 아무리 못된 주지였지만, 임진사가 갖고 온 한시의 기개를 따를 수 없었다. 주지는 약속한 땅을 임진사에게 내주었다. 그 후 더 이상 글짓기 내기를 하지 않았으며, 백성들도 괴롭히지 않았다.

모티프 분석

「며느리 글덕을 입다」의 모티프는 ‘임진사와 금강산 주지의 글짓기 내기’이다. 이 작품은 임진사의 며느리가 기개 넘치는 글로써 금강산 지주의 횡포를 막았다는 것을 주요 화소로 삼고 있다.

한인 설화 대부분이 관리와 백성, 지주와 소작인, 착한 자와 악한 자 등의 대립구조가 선명한데, 이 작품도 금강산 주지라는 악인과 임진사의 며느리라는 선인이 등장하여 대립하고 있다.

그런데 금강산 주지에 맞서는 자가 며느리이며, 게다가 맞서는 기재가 글 솜씨이다. 핍박받는 계층이라도, 부녀자나 노인, 또는 아이들조차도 비범한 능력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과 긍지의 표출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황구연,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 황구연,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