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장왕과 구슬아기」

한자 安臧王과 구슬아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고구려 안장왕|백제 태수의 딸
모티프유형 안장왕의 백제 잠입과 구슬 처녀와의 만남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경기도 고양시 일대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고구려안장왕(安臧王)과 백제 태수 딸의 사랑’을 구연한 설화.

개설

「안장왕과 구슬아기」는 고구려 왕과 백제 태수의 딸이 온갖 장애를 딛고 사랑을 쟁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인물전설(人物傳說)이다. 고구려안장왕이 태자 시절에 백제의 땅에 잠입하여 지형을 익히다가 우연히 백제 태수의 딸을 만나 사랑을 나누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의 굳센 의지로 그 사랑을 이룬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의 두 번째 자료집인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었다.

내용

고구려안장왕[?∼531, 재위 519∼531]이 태자 시절에 백제의 땅 깊숙이 잠입하여 병력 배치, 요새 건설 등을 염탐했다. 백제의 군사들이 이를 눈치 채고 태자를 뒤쫓았다. 태자는 큰 벽돌집 문을 열고 무작정 들어가 주인에게 몸을 숨겨줄 것을 부탁했다. 주인은 태자의 언행이며 행동거지가 보통 사람이 아닌 줄 금방 알았다.

주인은 이곳이 옛 고구려 땅인 계백현이며, 본인은 한 씨로 이곳의 토호라고 했다. 주인에게는 ‘구슬’이라는 장성한 딸이 있었다. 태자와 구슬이는 서로 첫눈에 반해 정을 나누었다. 그렇게 보름을 보낸 후, 태자는 구슬이에게 자신이 고구려의 태자임을 밝히고, 훗날 왕후로 맞이하겠노라고 하고 궁궐로 돌아왔다. 그리고 바로 고구려 22대 왕위를 계승했다.

안장왕은 왕위에 오른 후 백제정벌을 계획했다. 한편 구슬이는 수청을 들라는 명을 거부한 채 새로 부임한 계백현의 태수로부터 온갖 모욕을 당하고 있었다. 밀탐꾼을 통해 이 소식을 접한 안장왕은 군사를 몰아 계백현으로 진군했다. 안장왕은 치열한 전투 끝에 백제군을 몰아내고 계백현을 다시 고구려 땅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구슬이를 왕후로 맞아들였다.

모티프 분석

「안장왕과 구슬아기」의 모티프는 ‘안장왕의 백제 잠입과 구슬 처녀와의 만남’이다. 삼국의 경합을 다루고 있는 설화 중에 더러 우연한 계기로 적국의 인물을 만나 사랑을 나누고, 그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치열하게 몸부림치는 연인들의 이야기가 있다.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쟁취할 수밖에 없는 이들의 애틋한 사랑은 우리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여느 설화들보다 더한 전승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고구려의 태자와 백제 태수의 딸이 사랑을 쟁취하고 있다. 더욱이 설화의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해 두 사람이 적국의 연인이라는 장애물뿐만 아니라 신임 태수의 횡포라는 장애물까지 딛고 사랑을 쟁취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황구연,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