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례는 정에서 나온다」

한자 禮는 情에서 나온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이송암|뱃사공 내외
모티프유형 뱃사공 내외의 제사와 이송암 선생의 감복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제사는 예법보다 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구연한 설화.

개설

「례는 정에서 나온다」는 제사는 예법을 따르지 않더라도 정성을 다 하면 족하다는 내용을 설명하는 풍속 전설(風俗傳說)이다. 예법을 따르지 않지만 정성을 다해 제사를 지내는 뱃사공 내외를 보며, 이송암이라는 큰 선비가 감동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의 첫 번째 자료집인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어느 고을에 ‘이송암’이라는 선비가 살았다. 이송암은 나라에서 ‘선생(先生)’이라는 칭호를 부여했을 만큼 누대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는 큰 선비였다.

어느 날, 이웃 동네의 뱃사공이 이송암을 찾았다. 이유인즉슨, 부친의 제사를 지내야 하는데 그 예법을 알려달라는 것이었다. 이송암은 선뜻 허락하고 뱃사공을 따랐다. 뱃사공 내외가 제물을 준비하는 동안 이송암은 의관을 정제하고 기다리다가 잠깐 잠이 들었다.

얼마 후, 어렴풋한 소리가 들려 잠에서 깼다. 보아하니 뱃사공 내외가 개고기를 삶아 함지에 넣고 그것을 대문 오른쪽 구석에 놓고 절을 했다. 또 그것을 툇마루 기둥 앞에 놓고 절을 했다. 또 그것을 부엌 앞 신발장 앞에 놓고 절을 했다. 이송암은 아무리 예법을 모르지만 이곳저곳을 오가며 개고기를 제물로 올리는 것에 혀를 내둘렀다.

이송암은 뱃사공 내외에게 왜 그렇게 제사를 지냈는지 물었다. 뱃사공은 ‘부친이 평소에 개고기를 무척 즐겼기에 제물로 진설했노라’고 했다. 그리고 ‘부친이 늘 삿대를 대문간에 놓았노라고, 툇마루 기둥에 기대어 늘 담배를 피웠노라고, 신발장에서 늘 신발을 신고 벗었노라’고 했다.

이송암은 뱃사공의 부친 그리는 마음에 감복했다. 그러더니 ‘예(禮)는 정(情)에서 나오는 법이라며 제사를 아주 잘 지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모티프 분석

「례는 정에서 나온다」의 모티프는 ‘뱃사공 내외의 제사와 이송암 선생의 감복’이다. 제례(祭禮)는 송대에 형성된 예법을 고려조에서 수용한 것으로, 조선조에 이르러 확대·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특히 조선조 양반사회에서는 제례의 형식을 매우 중요시 여겼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뱃사공 내외는 제례의 형식보다 정성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당대 최고의 학자였던 이송암도 이를 통해 다시금 제례의 본질적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양반의 예법을 따를 수 없었던 일반 평민들이 오히려 제례에 정성을 다함으로써 일종의 콤플렉스를 극복하려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황구연,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