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생배필」

한자 天生配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남송학|선녀
모티프유형 남송학과 선녀의 사랑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황해도 개성시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하늘이 정한 배필은 반드시 연을 맺는다’는 것을 구연한 설화.

개설

「천생배필」은 한림학사(翰林學士) 남송학이 혼사장애(婚事障碍)를 딛고 그의 아내를 맞아들이는 과정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각기 처한 사정으로 연정(戀情)을 드러내지 못하지만, 하늘의 도움으로 부부의 연을 맺는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의 첫 번째 자료집인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송도에 남송학이라는 선비가 살았다. 어느 날, 남송학이 친지를 뵈러 섬마을로 갔다. 그런데 섬마을의 한 양가집에 ‘선녀’라고 하는 재색을 겸비한 처녀가 살았다. 섬마을은 물론 송도의 숱한 선비들, 한량들이 선녀를 아내로 맞이하려 했으나 선녀를 직접 본 사람은 없었다.

하루는 남송학이 친지의 부탁을 받고 양가집으로 심부름을 갔다. 이때 우연히 수양버들 숲가 연못을 노닐던 선녀를 보았다. 남송학은 선녀를 본 순간 숨이 멎을 듯했다. 선녀도 남송학을 보자 얼굴을 붉히며 별당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이튿날, 남송학은 별당 너머로 애끓는 연정의 시를 써 던졌다. 그러나 선녀로부터 답은 없었다. 남송학은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연정의 시를 써 던졌다. 그러자 선녀로부터 “연못가에서 우연히 만난 것도 어찌 하늘이 정해준 연분이 아니겠습니까?”라는 답시를 받았다.

남송학은 3년의 기한을 두고 과거에 급제하여 떳떳하게 청혼하리라 약속하고 글공부에 전념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연정을 모르는 선녀의 부모는 속히 선녀의 혼처를 구하려 했다. 선녀는 갖은 핑계를 대며 남송학을 기다렸다.

3년이 지났을 무렵, 남송학으로부터 연락이 없자 선녀는 비단에 남송학을 기다리는 시를 써 연못에 던졌다. 한편 남송학은 과거에 급제하여 부모님께 선물하려고 잉어 한 마리를 샀다. 그런데 잉어의 배를 갈라보니 선녀의 시가 적힌 비단이 나왔다. 남송학은 선녀와의 정분을 부모님께 고하고 선녀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남송학과 선녀는 천생배필로 백년해로 했다.

모티프 분석

「천생배필」의 모티프는 ‘남송학과 선녀의 사랑’이다. 이 작품을 통해 하늘이 낸 인연, 즉 ‘천생배필(天生配匹)’은 어떤 혼사장애에 부딪치더라도 결국 서로 인연을 맺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인간의 삶은 곧 하늘이 정한 운명에 순응하는 것이라는 옛 사람들의 숙명론적 세계관이 설화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황구연,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