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기 매화」

한자 名妓 梅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매화|곡산부사|황해감사
모티프유형 관기 매화의 미모와 곡산부사의 상사병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관련 지명 황해도 곡산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기생 매화의 절개’를 구연한 설화.

개설

「명기 매화」는 기생 매화(梅花)의 관기로서 삶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천하일색의 미모로 곡산 고을의 부사들에게, 황해도의 감사들에게 돌아가며 몸을 받쳐야 했던 매화의 삶이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6권 “사랑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조선영조 때, 황해도 곡산 고을에 ‘매화’라는 명기가 살았다. 워낙 천하일색인지라 역대 곡산 부사들의 총애를 독차지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매화가 30살이 되었을 때, 황해 감사가 곡산 고을에 순찰을 왔다가 매화의 미모에 반해 곡산부사에게 일러 매화로 하여금 수청을 들게 했다. 곡산 부사는 어쩔 수 없이 황해 감사에게 매화를 넘겨주었다. 황해 감사는 매화와 하룻밤 정을 통하고 흡족하여 매화를 해주 감영으로 데리고 갔다.

이후 곡산 고을에 새로운 부사가 부임했다. 그러나 매화가 해주 감영으로 갔다는 소식을 듣고 낙담했다. 새로운 부사는 공무를 핑계로 해주 감영으로 달려 가 매화를 보았다. 그러나 감사 품에 놀아나고 있는지라 어찌 할 수 없어 상사병에 걸리고 말았다. 매화의 어미는 이 소식을 접하고, 해주 감영에 자신이 위독하다는 편지를 넣어 매화를 집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곡산 부사도 함께 불러들여 두 사람이 연을 맺을 수 있도록 주선했다. 매화는 곡산부사의 젊음에 반했다. 이에 해주 감영으로 돌아와서는 아침 저녁으로 감사에게 사랑을 원했다. 감사는 매화의 욕정을 더 이상 받아줄 수가 없어 감영에서 내쫓았다. 하여 매화는 새로 부임한 부사를 또 모실 수 있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명기 매화」의 모티브는 ‘관기 매화의 미모와 곡산 부사의 상사병’이다. 매화(梅花)는 눈보라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지라 굳은 절개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관기 매화는 절개를 지키기보다는 위정자의 손에 놀아나기만 하는 미천한 기생으로 등장하고 있다. 다만 조선 시대에는 이미 퇴기 반열에 들 나이인 서른 살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곡산 부사들마다, 황해 감사들마다 매화에 매료되었다는 사실, 심지어 새로 부임한 곡산부사가 매화를 취하지 못해 상사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통해 매화의 기생으로서 매력을 상상할 따름이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