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득과 박박」

한자 夫得과 朴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노힐부득|달달박박|관세음보살의 화신
모티프유형 관세음보살의 시험과 부득의 성불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관련 지명 대구시 달성군 현풍읍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노힐부득의 성불 과정’을 구연한 설화.

개설

「부득과 박박」은 관세음보살의 도움으로 노힐부득(努肹夫得)이 성불(成佛)하게 되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출가를 핑계로 속세의 여인을 경계하던 달달박박(怛怛朴朴)보다 뭇 인간을 평등하게 공경한 노힐부득이 먼저 성불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삼국유사』탑상편에 실려 있는 설화가 전승된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10권 “우스운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신라성덕왕 때, 경상남도 창원군의 한 마을에 ‘부득’과 ‘박박’이라는 친구가 살았다. 두 사람은 속세를 떠나 출가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박은 북쪽의 사자암(師子岩)에서, 부득은 남쪽 고개의 승방에서 불경 공부를 했다. 3년 후 어느 날, 홀연히 한 아리따운 여인이 그윽한 향기를 풍기며 박박에게 나타나 하룻밤 자고 갈 것을 청했다. 그러나 박박은 출가한 사람인지라 청을 들어줄 수 없다고 거절했다. 여인은 부득에게 향하여 같은 청을 했다. 부득은 비록 출가한 몸이지만, 산골짜기를 더 이상 헤매게 할 수 없다는 생각에 여인을 들였다. 그러자 여인은 산기(産氣)가 있다며 자리를 마련해달라고 청했다. 부득은 자리를 마련해주었다. 또 여인은 해산을 마치자 목욕물을 청했다. 부득은 목욕물을 준비해 여인을 씻겨주었다. 그러자 물이 금빛으로 변했다. 여인은 부득에게 금빛 물에 목욕재계하라 했다. 부득이 물에 들어가자 살결이 금빛으로 변했다. 여인은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부득이 부처로 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이었다. 다음 날, 박박이 부득을 찾았다. 그런데 부득이 이미 부처가 되어 연화대(蓮花臺) 위에 올라 빛을 내고 있었다. 박박은 부득에게 방도를 물었다. 부득은 박박에게 그 물에 몸을 담그라 했다. 그러나 물이 모자라, 박박은 온전한 부처가 되지 못하고 얼룩부처가 되고 말았다.

모티프 분석

「부득과 박박」의 모티프는 ‘관세음보살의 시험과 부득의 성불’이다. 이 작품을 통해 진정한 수도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박박은 관세음보살이 화한 여인을 속세의 여인으로 바라본 반면, 부득은 여인을 속세의 인간으로 바라보았다. 남녀노소나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을 존엄한 인간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라야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성불(成佛)’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