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파소」

한자 乙巴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을파소|고국천왕
모티프유형 을파소의 성장과 국상 등극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을파소의 선정’을 구연한 설화.

개설

「을파소」는 고구려고국천왕(故國川王) 때 재상으로서 선정을 펼친 을파소(乙巴素: ?∼203년)의 면면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을파소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그가 재상으로서 어떤 이상을 갖고 국가를 경영했는지 드러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 인민출판사, 2007) 중 제3권 “력사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을파소고구려고국천왕 때 재상을 지낸 인물이다. 을파소가 5살 때, 어머니가 냇가의 물방앗간에서 방아를 한창 찧고 있었다. 그런데 곡식가루를 쓸 빗자루를 놓고 왔다. 어머니는 을파소에게 빗자루를 가져오라 했다. 그러자 을파소는 뚱딴지 같이 어머니에게 강아지를 불러보라 했다. 하는 수 없이 어머니가 “워리 워리”하며 강아지를 부르니 강아지 등에 빗자루가 매달려 있었다. 어머니는 을파소의 엉뚱한 행동을 늘 걱정했다. 그러나 을파소는 성장하면서 조부 을소의 가르침을 잘 받아들였다. 그리고 성정도 강직하고 너그러워 주변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어느 날, 임금은 을파소가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는다는 사실을 듣고 을파소를 궁궐로 불러들였다. 그리고는 정승의 벼슬을 제수했다. 그러나 간신들은 을파소에 대한 파격적인 대우를 시기했다. 이에 을파소는 “선비의 절개는 선비의 고집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라와 백성에 대한 충성에 있을 뿐이다. 오늘 온 나라 백성이 나를 믿어주고 임금께서 이 같이 후하게 대해주니 어찌 속세에 숨어 있을 수 있겠는가.”라며 간신들을 회유했다. 을파소가 정승이 된 후, 나라는 안정을 되찾았으며 백성들의 삶은 더욱 윤택해졌다.

모티프 분석

「을파소」의 모티브는 ‘을파소의 성장과 국상 등극’이다. 을파소고구려고국천왕 때 국상(國相)으로서 왕권 강화를 통해 고구려의 새로운 정치질서를 확립한 인물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열전」에서 을파소의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삼국사기』의 관련 기록은 ‘을파소의 국상 등극과 간신들의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이 작품은 소년 시절 을파소의 엉뚱한 행동과 성장 후 국상 등극을 균등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관련 기록의 내용을 바탕으로, 을파소의 선정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 어린 시절의 엉뚱한 행동이라는 모티브를 가미하여 각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