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高朱蒙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해모수|유화|금와왕|주몽 |
| 모티프유형 | 인물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7 |
| 관련 지명 | 길림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
주몽은 하늘의 신인 해모수(解慕漱)를 아버지로, 강물의 신인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어머니로 하여 알에서 태어났다. 그 어머니가 몸을 의지하고 있던 부여 왕조의 금와왕(金蛙王)은 알을 버렸지만, 짐승과 새들이 알을 보호했다. 왕이 직접 그것을 깨뜨리려 했으나 깨지지 않으므로 할 수 없이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어머니가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는데 알 속에서 한 아기가 태어났다. 그 아기는 매우 출중하고, 특히 활을 잘 쏘았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활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주몽’이라고 불렀다. 금와왕의 일곱 왕자들은 주몽을 시기하여 없애려고 했다. 주몽의 어머니는 계략을 써서 주몽이 기르고 있던 왕실의 말들 가운데에서 가장 좋은 것을 차지하게 하고, 주몽에게 몸을 피하여 큰일을 도모하게 했다. 주몽이 도망하여 엄수(淹水)에 도달했으나 왕자들의 추격이 급박했다. 주몽은 물을 향해서 “내가 천제(天帝)의 아들이고 강의 신의 외손인데 이제 이 추격을 어찌하리오.” 하고 말하자 고기 떼와 자라들이 다리를 놓아 추격을 면하게 되었다. 주몽은 남쪽으로 달아나서 졸본(卒本)에 도착하여 작은 집을 엮어 나라의 기틀로 삼고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고 했다.
「고주몽」의 모티브는 ‘난생(卵生), 기아(棄兒), 어별성교(魚鼈成橋), 국가건립(國家建立)’이다. 이 작품은 한민족 건국 신화의 대표적인 모티브로서 ‘난생, 기아, 어별 성교, 국가 건립’이라는 네 가지 골자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 즉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가 아직 만연하지 않았을 때, 국가를 보다 효율적으로 경영할 목적으로 반신반인(半神半人)이라는 신이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신화의 전형적인 모티브를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몽 신화의 모티브는 이후 ‘박혁거세 신화(朴赫居世神話)’, ‘김수로 신화(金首露神話)’, ‘김알지 신화(金閼智神話)’, ‘석탈해 신화(昔脫解神話)’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