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랑과 가실이」

한자 薛娘과 嘉實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설랑|가실이
모티프유형 설랑과 가실이의 이별과 해후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관련 지명 경상북도 경주시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설랑과 가실의 가없는 사랑’를 구연한 설화.

개설

「설랑과 가실이」는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되어 있는 “가실과 설씨녀 설화”의 각 편으로 설랑과 가실의 가없는 사랑을 설명하는 신물 전설(信物傳說)이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6권 “사랑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신라진평왕(眞平王, 567~632) 때, 집안은 가난했으나 얼굴이 단정하고 품행이 얌전한 ‘설랑(薛娘)’이라는 처녀가 살았다. 어느 날 설랑의 늙고 병든 아버지가 성을 쌓는 부역에 차출되었다. 이 소식을 듣고 평소 설랑을 사모해왔던 ‘가실(嘉實)’이라는 청년이 자신이 대신 가겠다고 했다. 그러자 설랑은 거울을 반으로 쪼개 나누어 가지고, 부역이 끝나는 3년 뒤 혼인할 것을 약속했다. 가실은 그가 키우던 말 1필을 설랑에게 맡기고 떠났다. 그러나 가실은 6년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설랑의 아버지는 딸을 다른 곳으로 시집보내기 위해 딸이 반대하는데도 몰래 혼처를 정하고 혼인날까지 받아놓았다. 그 즈음 가실이 돌아왔으나, 그간의 고생으로 너무나 초라해져 그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자 가실은 신표로 받은 거울조각을 꺼내 설랑의 것과 맞추어보고 자신이 가실이라는 것을 증명한 뒤 설랑과 혼인했다.

모티프 분석

「설랑과 가실이」의 모티브는 ‘설랑과 가실이의 이별과 해후’이다. 가실이가 설랑의 아버지 대신 부역을 떠나 6년 만에 돌아왔지만, 초췌한 몰골 때문에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자 신표를 통해 자신임을 밝히고 설랑과 결혼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작품은 비록 한인 사회에서 채록된 “설랑과 가실이”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과 전혀 다르지 않다.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1966∼1976)을 거치는 과정에서 옛 것들이 많이 파괴되고 훼손되었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관련 기록을 바탕으로 그 원형이 온전히 계승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