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에 대한 이야기」

한자 于勒에 대한 이야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우륵|나문|계고|범지|만덕
모티프유형 우륵의 가야금 12곡 작곡과 제자들의 가야금 5곡 편곡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관련 지명 충청북도 충주시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우륵의 가야금 전수’를 구연한 설화.

개설

「우륵에 대한 이야기」는 우륵(于勒: ?~?)의 가야금 12곡을 제자인 계고, 범지, 만덕이 5곡으로 편곡했다는 것을 설명하는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우륵은 자신의 가야금 12곡보다 제자들이 편곡한 가야금 5곡이 더 뛰어나다고 평가하고 그 곡을 기꺼이 궁중 연회에서 연주케 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3권 “력사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우륵은 가야국이 망하자, 제가 나문과 함께 낭성(현 충주시)에 정착해 가야금을 탔다. 우륵의 가야금 소리는 가야국의 멸망을 노래하듯 애절하고 구슬펐다. 이때 신라의 진흥왕이 낭성에 왔다가 우륵이 가야금을 잘 탄다는 말을 듣고 불러들였다. 진흥왕은 우륵에게 가야금 소리를 한번 듣고 싶다고 했다. 우륵은 진흥왕을 위해 애절하고 구슬픈 곡조 대신 힘차고 호방한 곡조로 가야금을 탔다. 진흥황은 우륵을 치하하며 신하들에게 가야금을 장려토록 했다. 이때부터 신라의 궁중 연회에 가야금이 빠지지 않았다. 그리고 진흥왕은 계고, 범지, 만덕이라는 음악가를 우륵에게 보내어 가야금을 전수케 했다. 우륵은 제자들에게 가야금 12곡을 전수시켜 신라로 돌려보냈다. 어느 날, 나문이 우륵에게 ‘계고, 범지, 만덕이 가야금 12곡을 제멋대로 5곡으로 만들었다는 소문이 돈다’고 했다. 우륵은 그 길로 신라로 향했다. 그리고 제자들을 만나 연유를 물었다. 제자들은 고개를 조아릴 뿐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우륵은 제자들에게 5곡을 연주케 했다. 그런데 제자들의 5곡은 자신이 만든 12곡보다 훨씬 뛰어났다. 우륵은 제자들에게 오히려 감사하다는 말을 하며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신라의 연회 때마다 제자들이 만든 가야금 5곡을 기꺼이 연주케 했다.

모티프 분석

「우륵에 대한 이야기」의 모티브는 ‘우륵의 가야금 12곡 작곡과 제자들의 가야금 5곡 편곡’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우륵과 관련하여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고, 우륵이 12곡을 지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당시 우륵의 12곡은 1년 12달에 맞춘 국가의 예악(禮樂)으로서 불교행사 또는 국가행사에서 연주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가야국이 멸망하자 우륵은 가야금 12곡을 신라의 입장에 맞춰 5곡으로 편곡한다. 이 작품에서 이러한 일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우륵과 관련한 단편적인 고기록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덧보태 내용을 전개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우륵이 머물렀다고 하는 충주에는 실제로 '우륵이 신라진흥왕 앞에서 가야금을 연주했다'고 하는 탄금대(彈琴臺)가 남아 있으며, 인근 제천에는 '우륵이 의림지를 둘러보다 마셨다'고 하는 우륵샘이 남아 있다. 가야금을 통해 신라의 음악을 세련된 '아(雅)'로 발전시킨 악성(樂聖) 우륵의 흔적을 현장에서, 조선족 설화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