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혁거세」

한자 朴赫居世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6부의 촌장|박혁거세|알영
모티프유형 박혁거세의 신이한 탄생과 신라 건국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박혁거세의 탄생과 신라의 건국’을 구연한 설화.

개설

「박혁거세」는 박혁거세(朴赫居世, 기원전 69~4)가 알에서 태어났으며, 6부 촌장의 천거로 신라를 건국했다는 것을 설명하는 신화(神話)이다. 6부의 대혼란, 난생(卵生)으로서 박혁거세의 탄생, 박혁거세의 신라 건국 등의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과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3권 “력사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 경주 땅의 알천하 기슭에는 ‘양산촌’이, 돌산 기슭에는 ‘고허촌’이, 무산 골짜기에는 ‘대수촌’이, 최산 너머에는 ‘진지촌’이, 금산 아래에는 ‘가리촌’이, 명활산 뒷골에는 ‘고야촌’이 자리 잡고 있었다. 어느 해 봄날, 여섯 부족의 촌장들이 알천 언덕에 모여 국가 건립을 논의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촌장들이 자신이 왕이 될 재목이라며 우겼다. 이때 고허촌의 촌장이 하늘에 제를 올려 왕을 내려달라고 청하자 했다. 촌장들은 기꺼이 동의했다.

그러자 인근 라정(羅井)에서 밝은 빛이 났다. 촌장들이 가보니, 백마 한 필이 꿇어앉아 있다가 하늘로 올라갔다. 그런데 그 자리에 박만한 크기의 빛나는 알이 놓여 있었다. 얼마 후 알에서 아이가 나왔다. 촌장들이 아이를 동천에서 씻기니 온갖 새들이 날아들어 노래 불렀다. 또한 알영우물에서 계룡이 물기운와 함께 하늘로 치솟더니 왼쪽 옆구리에서 여자 아이를 낳았다. 여자 아이의 입은 닭 부리처럼 뾰족 튀어나와 있었다. 이를 우물물로 씻으니 부리가 떨어져 나갔다.

촌장들인 필시 하늘이 내린 왕과 왕후라고 여기고 두 아이를 궁실로 옮겼다. 그리고 남자 아이는 ‘박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박씨”라고 했으며, ‘광명으로 세상을 다스리라’는 의미에서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고 했다. 여자 아이는 ‘알영우물에서 나왔다’고 해서 이름을 “알영(閼英)”이라고 했다. 마을 촌장들은 아이가 13살이 되던 해에 박혁거세를 왕으로 봉했으며,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이라고 했다.

모티프 분석

「박혁거세」의 모티브는 ‘박혁거세의 신이한 탄생과 신라 건국’이다. “박혁거세 신화”는 투쟁의 결과로서 국가를 건립하는 북방의 “동명왕 신화”와 달리 기존의 6부를 통합하여 국가를 건립하고 있다. 이 작품은 비록 한인 사회에서 채록된 “박혁거세 신화”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과 전혀 다르지 않다.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1966∼1976)을 거치는 과정에서 옛 것들이 많이 파괴되고 훼손되었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관련 기록을 바탕으로 그 원형이 온전히 계승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황구연 민담집』(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보고사, 2007)
  •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