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류리」

한자 少年 瑠璃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유리|주몽|여씨부인
모티프유형 유리의 신표 확인과 태자 책봉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
관련 지명 중국 길림성 부여시 일대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유리와 주몽의 해후’를 구연한 설화.

개설

「소년 유리」는 ‘해모수(解慕漱)와 유화(柳花)의 야합, 유화의 잉태와 주몽(朱蒙) 탄생, 주몽의 역경과 고구려 건국’이라는 주몽신화(朱蒙神話)의 후속편으로, 고구려 2대왕 유리(瑠璃)가 주몽이 남긴 징표를 통해 태자 책봉이 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신화(神話)이다.

채록/수집 상황

박창묵, 황상박이 채록한 황구연[남, 1909~1987년,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황구연 전집』(김재권, 연변인민출판사, 2007) 중 제8권 “어린이 이야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유리가 어렸을 때 일이다. 유리가 새를 맞추려 활을 쏘았는데 그만 빚나가 어느 아낙의 물동이를 깨뜨렸다. 아낙은 유리에게, “애비 없는 후레자식 같은 녀석!”이라며 화를 냈다. 어려서부터 어머니 여씨와 할머니 유화의 손에서 자란 유리는 그제야 ‘본인에게 아버지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유리는 어머니에게 ‘아버지의 부재’에 대해 물었다. 여씨는 유리에게 ‘아버지는 주몽이며, 부여에 있을 때 금와왕과 대소의 시기로 피신하여 비류수 근처에 고구려를 세웠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러면서 ‘일곱 모가 난 돌 근처의 소나무 아래에 신표를 묻어두고 떠나면서, 아들을 낳거든 그것을 찾아오라’고 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유리는 주몽이 남긴 신표를 찾고자 무던히 애썼다. 몇 달을 헤맨 후, 일곱 모가 난 주춧돌의 소나무 아래 묻혀 있던 반 조각 난 칼을 찾았다. 유리는 주몽을 만나 그 칼을 건넸다. 주몽은 유리가 아들임을 확인하고 태자로 봉했다.

모티프 분석

「소년 유리」의 모티브는 ‘유리의 신표 확인과 태자 책봉’이다. 주몽이 부여를 떠날 때 숨겨놓은 반 조각난 칼을 유리가 찾아 그것을 신표로써 아들임을 입증 받고 태자로 책봉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동명왕신화”의 모티브는 ‘난생(卵生), 기아(棄兒), 어별성교(魚鼈成橋), 국가건립(國家建立)’으로서 건국신화의 대표적인 모티브로서 ‘난생, 기아, 어별성교, 국가건립’이라는 네 가지 골자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 즉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가 아직 만연하지 않았을 때, 국가를 보다 효율적으로 경영할 목적으로 반신반인(半神半人)이라는 신이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신화의 전형적인 모티브를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동명왕신화”의 후속편으로, 기아(棄兒) 모티브만 동일할 뿐 전대의 그것만큼 신화성이 부각되지는 않는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김재권, 『황구연 전집』(연변인민출판사, 2007)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