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鐵道 |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교통 시설 |
|---|
중국 동북 3성에서 철로 위로 차량을 운전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시설.
길림성의 철로는 서북-동남 방향과 서남-동북 두 방향으로 건설되어 있다. 중국 전국 주요 철로 간선인 경합선(京哈線)[북경-하얼빈]은 길림성 남북을 관통한다. 길림성에서 하얼빈·심양·대련·북경·천진·서안·석가장·무한·제남·남경·광주·상해 등 전국 주요 성시까지 이어진다.
길림성 철도는 장춘을 중심으로 길림·사평·백성·매하구 등을 허브로 경합(京哈)·장도·장백·평지·심길·사매·매집 등 간선이 있다. 길림성의 각 시와 주, 향급 도시로 철도망이 이어져 있다. 2014년 말 현재 길림성의 철로는 4,345.2㎞에 이른다.
합대(哈大) 고속 철로[하얼빈-대련]는 하얼빈의 고속철도이다. 북쪽은 흑룡강성 하얼빈에서 남쪽의 빈해 성시 대련까지 이어진다. 철도는 동북 3성의 4개 부성급 도시인 하얼빈·장춘·심양·대련을 경유하며, 6개 지급 도시와 그 관할 현을 경유한다.
전체 길이는 921㎞이며 철로는 복선으로 전기화 되어 있다. 이 가운데 흑룡강성 경내 81㎞, 길림성 경내 270㎞, 요령성 경내 553㎞의 철도가 지나며 23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 건설 중인 합제 객전(哈齐客電)[하얼빈-치치하얼]의 철도 전 구간은 286㎞이고, 모든 구간은 복선으로 되어 있다. 총 투자액은 323.9억 위안(元), 시속 250㎞이며 2014년 말 개통되었다. 합제 객전의 개통으로 하얼빈에서 치치하얼까지 1시간 20분이 소요된다.
요령성의 철도 교통은 1891년 6월 산해관에서 경산 철로 공사[북경-산해관]로 시작되었으며 심양역과 금주역이 있다. 1893년 4월 개통이 되었으며, 이후 철도 공사의 진행과 전쟁으로 인한 중단이 반복되다가 1903년 9월 신민까지 이어지는 북령 철도[북경-요령]가 개통되었다. 후에 북령 철도는 경봉 철로[북경-봉천]로 개칭되었다.
1908년 연산역에서 호호도항역이 개통되었다. 1911년 요령성의 철도국은 청 정부 우전부 만철의 소속이었으며, 요령성 경내에 간선 철도 4선, 지선 3선, 총 길이 1,400㎞가 되었다.
1922년 장작림(張作霖)은 동북 3성 자치를 선포하고 군비 증강을 위하여 관과 민 합작으로 봉해 철로 공사를 설치하고 남만 철로를 건설하였다. 봉해 철로는 요령성의 역사상 민자로 건설된 첫 번째 철도이다.
1952년 말, 심양과 금주 간 철로 2,006㎞가 개통되었으며, 이 가운데 복선이 793.2㎞, 심산 철도의 통과 효용력을 27.5%로 높였다. 심길선[심양-길림] 가운데 심양에서 매하구(梅河口) 구간은 12열에서 32열로 증가하였다.
견인력은 1,600t으로 증강하였으며, 철로 확장을 위하여 교량을 확장하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1950년 5월 1일, 중소 양국의 협정에 따라 하얼빈에 중국장춘 철로 관리국이 설립되었다. 장춘 철로 관리국에는 5개 분과를 설치하였으며, 요령성 경내에 심양, 대련 분국을 설치하였다.
1985년 말, 요령성 경내의 철로는 387개가 되었으며, 이 가운데 특등역은 심양역과 소가툰역(甦家屯站) 2개 역이다. 1등 역은 14개, 2등 역은 23개, 3등 역은 48개, 4등 역은 282개, 5등 역은 18개이다. 2014년 요령성의 철로는 3,939㎞까지 이어지며, 인구 밀도상 전국 1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