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한자 交通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교통 수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2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9월
정의

중국 동북 3성의 주요 도로, 교통 수단 및 관련 시설.

길림성의 교통

길림성의 철로는 서북-동남 방향과 서남-동북 두 방향으로 건설되었다. 2014년 말, 길림성의 철로는 4,345.2㎞에 이른다. 중국 내의 주요 철로 간선[남부지선]인 경합선(京哈線)은 길림성 남북을 관통한다. 이는 하얼빈(哈爾濱), 심양(瀋陽), 대련(大連), 북경(北京), 천진(天津), 서안(西安), 석가장(石家庄), 무한(武漢), 제남(濟南), 남경(南京), 광주(廣州), 상해(上海) 등 전국 주요 성시를 잇고 있다.

또는 길림성 철도는 장춘을 중심으로 길림, 사평(四平), 백성(白城), 매하구(梅河口) 등 을 허브로 경합(京哈), 장도(長圖), 장백(長白), 평제(平齊), 심길(沈吉), 사매(四梅), 매집(梅集) 등 간선이 있다. 이는 길림성의 각 시와 주, 향급 도시로 철도망이 이어져 있다. 2014년 말, 길림성의 철로는 4,345.2㎞에 이른다.

2014년 말, 길림성 전체 운용 중인 철로의 거리는 4,345.2㎞, 도로망은 9.6만 ㎞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등급에 해당하는 도로는 8.87만 ㎞에 이르는데, 도로망 총거리의 92.3%에 해당한다. 등급 외 도로는 7,374㎞에 달하는데, 전체 도로망의 7.7%에 해당한다.

길림성의 주요 수운망(水運網) 하천은 송화강(松花江), 눈강(嫩江), 도문강(圖們江), 압록강(鴨綠江)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운행하는 시기는 4월 중순에서 11월 하순이다. 길림성 내 하운도(河運道)는 1,789㎞이며, 하천 내의 항구는 대안항(大安港), 길림항(吉林港), 부여항(扶餘港) 등 세 곳이다. 연 물동량은 140만 t이다.

길림성의 공항은 장춘을 중심으로 연길·백산에 있다. 이러한 공항을 통해 북경·상해광주(廣州)·해구(海口)·영파(寧波)·대련·곤명(昆明)·홍콩·심천(深圳), 한국의 서울, 일본의 센다이(仙台) 등지로 운항한다.

흑룡강성의 교통

흑룡강성의 합대(哈大) 고속 철로는 하얼빈의 고속 철도이다. 흑룡강성 하얼빈에서 남쪽의 대련까지 이어지는 고속 철도로, 동북 3성의 4개 부성급 도시인 하얼빈, 장춘, 심양, 대련을 경유하며, 6개 지급 도시와 그 관할 현을 경유한다. 전체 길이는 921㎞이며 철로는 복선으로 전기화되어 있다. 이 가운데 흑룡강성 경내 81㎞, 길림성 경내 270㎞, 요령성 경내 553㎞의 철도가 지나며 23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합제 객전[哈齊客專, 하얼빈시에서 치치하얼시(齊齊哈爾市) 사이의 여객 전용칸]의 철도 전 구간은 286㎞이고, 모든 구간은 복선으로 되어 있다. 총투자액은 323.9억 위안(元), 시속 250㎞이며 2014년 말 개통되었다. 합제 객전의 개통으로 하얼빈에서 치치하얼까지 1시간 20분이 소요된다.

2008년 각종 고속 도로 운송량은 1,375.1억 톤/㎞로 전년 대비 6.0% 성장하였다. 이 가운데 철로는 1,006.5억 톤/㎞로 전년 대비 5.3% 증가하였다. 일반 도로는 318.3억 톤/㎞로 전년 대비 9.8% 증가하였다. 수운은 15.0억 톤/㎞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하였다. 항공은 0.4억 톤/㎞로 전년 대비 20.4% 증가하였다. 하지만, 도관은 34.9억 톤/㎞으로 5.7% 감소하였다.

2012년 여객 운송량은 608억 인/㎞로 전년 대비 7.7% 상승하였다. 이 가운데 철로는 220.7억 인㎞로 전년 대비 4.8% 증가하였다. 도로는 342.2억 인㎞로 전년 대비 9.0% 증가하였다. 수운은 0.4억 인㎞로 전년 대비 12.8% 증가하였다. 항공은 44.7억 인㎞로 전년 대비 12.6% 증가하였다.

하얼빈 태평 국제 공항(哈爾濱太平國際機場)은 흑룡강성의 허브 공항으로 하얼빈시에서 33㎞ 떨어져 있다. 이는 동북아와 북미항의 정거장 역할을이 하고 있다. 중국 동북 지역의 가장 매력적인 3대 공항 중의 하나이다.

치치하얼 삼가자(齊齊哈爾三家子) 국제 공항은 국제 항국 공항이다. 현재 56개 항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국내 항공선은 40개, 국제 항공선은 15개, 특수 관리 항공선은 1개이다. 15개 국제 도시로 운항하고 있으며, 1개 지역 성시와 28개 국내 성시로 운항하고 있다.

대경 살이도(大慶薩爾圖) 국제 공항은 흑룡강성 대경시(大慶市) 살이도구(薩爾圖區)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경시 동성구에서 19㎞, 대경시 서성구에서 29㎞ 떨어져 있다. 하얼빈 태평 국제 공항과는 170㎞ 떨어져 있다. 살이도 국제 공항은 흑룡강성 서부의 지선 최대의 허브 공항으로 7억 원(元)이 투자되었으며, 2009년 9월 1일 건설되어 중국남방 항공(南方航空)흑룡강성 지사 제 2 영업 지사로 선정되었다.

목단강 해랑 공항(牡丹江海浪機場)은 시 중심구에서 동남쪽 7㎞ 밖에 위치한 군, 민을 위한 국제 공항이다. 목단강시는 흑룡강성 동남부 교통의 허브 지역으로 목단강에 위치한 목단강 해랑 공항은 국가 제 2급 공항의 표준이 되었다. 이 공항에서는 북경, 광주, 상해, 청도(靑島), 대련, 천진, 심양 등을 운항하고 있다. 목단강 해랑 공항은 B-757이하 중형 여객기 연인원 운송량 50만명에 달한다.

이춘 임도 공항(伊春林都機場)은 중국흑룡강성 이춘시의 공항으로 오마하 임업국(烏馬河林業局)이림 경영소 경내에 위치한다. 이춘시 중심에서 직선거리 9㎞ 떨어져 있다. 2008년 7월 착공하였는데 만 1년만에 준공하여 2009년 8월 27일 운항을 시작하였다. 공항 활주로는 2,300m이며 넓이는 45m로 공항 등급은 4C급이다. 공항 면적은 2,800㎢로 A320계열, B737계열 이하 기종의 이착륙이 가능하다. 연인원 운송량은 14.2만 명에 달한다.

이 밖에도 흑룡강성에는 가격 달기(加格達奇) 공항, 흑하(黑河) 공항, 계서(雞西) 공항, 막하(漠河) 공항 등이 있다.

요령성의 교통

요령성의 경우는 전체 도로망 중 고속 도로는 2,348㎞에 해당하며 전체 도로망의 2.4%에 해당한다. 요령성에는 360여 개의 하천이 있는데, 전체 길이가 16만 ㎞에 달하여 수운 교통디 다른 성에 비해 비교적 발달하였다. 이 가운데 요하는 요령성 내 제1 하천으로 고대 시기부터 중원에서 길림, 흑룡강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압록강은 요령성의 제2 하천으로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자연적 경계가 되고 있으며, 대릉하(大凌河)는 요령성의 제3 하천으로 중원과 동북 지역을 왕래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교통로였다.

요령성 전체의 해안선은 길고 복잡한데, 동쪽은 압록강 입구에서 시작하여 남쪽은 요동반도, 서쪽은 수중만가둔(綏中万家屯)에 이르는데 전체 길이는 2,178㎞에 달한다. 이는 중국 전체 가운데 12%를 차지하며, 여순(旅順), 영구(營口)는 고대 해상 교통의 주요 정박지였다.

1985년 말, 요령성에는 영업 중인 항구가 11개 있고 102개의 부두 정박장이 있다. 이 가운데 1만t급 이상의 심해 정박소는 26개가 있다. 운항하는 선박은 956척, 667,687t에 이르렀다. 요령성의 수운은 대련항, 단동, 영구, 금주항 등을 중심으로 세계 5대주 70여 국가와 지역, 140여 개의 항구로 운항하고 있다.

요령성의 철도 교통은 1891년 6월 산해관에서 시작한 관동철로(關東鐵路) 공사로부터 비롯되었고 심양역(沈陽站)과 금주역(錦州站)이 있다. 1893년 4월 개통되었으나, 이후 청일전쟁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었다가 1903년 9월 신민(新民)까지 이어지는 북령 철도(北寧鐵路)[북경-요령]가 개통되었다. 1907년 북령 철도는 경봉 철로(京奉鐵路)로 명칭이 바뀌었다.

1908년 연산(連山)역에서 호호도항(葫蘆島港)역이 개통되었다. 1911년 요령성 철도국은 청 정부 우전부(郵傳部) 만주철도주식회사(滿洲鐵道株式會社)의 소속이었으며, 요령성 경내에 간선 철도 4선, 지선 3선, 총 길이 1,400㎞가 되었다.

1922년 장작림(張作霖)은 동북 삼성 자치를 선포하고 군비 증강을 위하여 관과 민이 합작으로 봉해 철로 공사(奉海鐵路公司)를 설치하고 남만 철로(南滿鐵路)를 건설하였다. 봉해 철로는 요령성의 역사상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첫 철도이다.

1950년 5월 1일, 중소 양국의 협정에 의하여 하얼빈에 중국장춘 철로 관리국이 설립되었다. 장춘 철로 관리국에는 5개 분과가 있었는데, 요령성 경내에 심양, 대련 분국이 설치되었다.1952년 말, 심양과 금주(錦州) 철로 2,006㎞가 개통되었으며, 이 가운데 복선 구간이 793.2㎞였고, 심산철도(沈山線)의 통과 효용력을 27.5%로 높였다. 심산선 가운데 심양에서 매하구(梅河口) 구간은 12열에서 32열로 증설하여 견인력은 1,600t으로 늘어났으며, 철로 확장을 위하여 교량 확장 공사를 진행하였다.

1985년 말, 요령성 경내의 철로는 387개가 되었는데, 그 가운데 특등역으로는 심양역과 소가툰역 2개 역이다. 1등 역은 14개, 2등 역은 23개, 3등 역은 48개, 4등 역은 282개, 5등 역은 18개이다. 2014년 요령성의 철로는 3,939㎞까지 늘어났는데,인구 밀도 상 중국 내 1위를 차지하였다.

요령성의 육로 교통은 비교적 발달되어 있다. 1985년 말, 전체 성의 도로 교통망은 33,006㎞이며 이 가운데 개통된 도로는 17,588㎞이다. 전 성의 도로면의 거리는 28,660㎞에 이르며 전체 성 도로 교통망의 86.8%에 해당된다. 이 가운데 아스팔트 포장 도로는 6,478㎞에 달하며 시멘트 도로는 90.5㎞이다. 전체 성에서 고급 도로면은 22.9%이다. 심양에서 각 시, 각 시에서 각 현까지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는 92.5%이며, 현에서 향까지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는 522개로 모든 향과 진의 41.5%에 이른다. 요령성 도로 교통의 교량은 7,288개로 총 길이 226,914m에 이른다.

2008년 10월, 요령성 내 고속도로는 심양을 중심으로 뻗어나가 있으며 2,800㎞에 이른다. 경침고속(京沈高速), 침해고속(沈海高速), 요중배선고속(遼中環線高速), 침단고속(沈丹高速), 침길고속(沈吉高速), 침창고속(沈彰高速), 침사고속(沈四高速), 부영고속(阜營高速), 단대고속(丹大高速), 단해고속(丹海高速), 단통고속(丹通高速), 환영고속(桓永高速), 장개고속(庄盖高速), 무통고속(抚通高速), 신철고속(新鐵高速), 토양고속(土羊高速), 금조고속(錦朝高速), 금부공로(錦阜公路), 철조고속(鐵朝高速), 본요고속(本遼高速), 대요만소항로(大窑湾疏港路)의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부영고속(阜營高速)과 심양요성고속(瀋陽繞城高速) 도로를 확장하여 부신(阜新)-반금(盤錦)-영구(營口) 고속도로 구간은 북으로 연장하여 신선(伸線). 건창(建昌)에 까지 이르며, 흥성고속(興城高速)은 압록강계 하천 도로망, 대교 등과 연장되었다.

요령성의 주요 공항은 심양 도선(沈陽桃仙) 국제 공항, 대련주수자(大連周水子) 국제 공항, 단동 랑두(丹東浪頭) 국제 공항, 금주 소령자(錦州小嶺子) 공항, 조양(朝陽) 공항, 안산 등오(鞍山騰鰲) 공항, 장해(長海) 공항이 있다. 영구 란기(營口蘭旗) 공항, 대련 금주만(大連金州灣) 국제 공항은 건설 중에 있다.

요령성의 지하철 교통은 주로 심양의 전철·궤전차, 대련의 경궤(輕軌)· 궤전차 등이 있다. 도시 간 철도인 심무성제철로(沈撫城際鐵路)[심양-무순]는 2008년 11월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전체 길이 65㎞로 심양과 무순 북부를 잇는 성급 철로이다, 심무성 제철로는 2014년 12월 10일 CRH5 열차가 무순 북에서 길림까지 D8032/29, 무순 북에서 대련 북까지 D8072/1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참고문헌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