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集居 地區 |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주거지 |
|---|
중국에서 소수 민족이 어느 한 곳에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구.
중국은 56개 민족이 살고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주체 민족인 한족을 제외하고 다른 민족을 소수 민족이라 부른다. 중국은 이런 소수 민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여 민족 자치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에서 민족 자치를 실시하는 행정 기구는 자치구·자치주·자치현·자치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을 해당 민족의 집거 지구로 볼 수 있다.
중국에는 성급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5개 민족 자치구가 있다. 내몽골자치구·신강위그르자치구·영하회족자치구·티벳자치구·광서장족자치구 등이다. 이들 자치구는 몽골족·위그르족·회족·티벳족·장족 등 5개 민족의 집거 지구라 할 수 있다.
중국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를 비롯하여 30개의 자치주가 있다. 길림성에 1개(조선족), 호북성에 1개[토가족·묘족], 호남성에 1개[토가족·묘족], 사천성에 3개[티벳족·강족·이족], 귀주성에 3개[묘족·동족·부이족], 운남성에 8개[이족·하니족·장족·묘족·타이족·바이족·경파족·리리족·티벳족], 감숙성에 2개[회족·티벳족], 청해성에 6개[티벳족·몽골족], 신강위그르자치구에 5개[하사크족·회족·몽골족·키르키즈족]가 있다. 30개 자치주는 조선족·토가족·묘족·티벳·강족·이족·동족·부이족·하니족·장족·타이족·바이족·경파족·리리족·회족·몽고족·하사크족·키르키즈족 등 민족이 상대적으로 집중된 집거 지구라 할 수 있다.
중국에는 장백조선족자치현을 비롯하여 120개의 자치현이 있다. 하북성에서 6개[만족·몽골족·회족)] 요령성에 8개[몽골족·만족], 길림성에 3개[조선족·만족·몽골족], 흑룡강성에 1개[몽골족], 절강성에 1개[서족], 호북성에 2개[토가족], 호남성에 7개[동족·묘족·요족], 광동성에 3개[요족·장족], 광서장족자치구에 12개[요족·모남족·무로족·묘족·동족], 해남성에 6개[이족·묘족], 중경시에 4개[토가족·묘족], 사천성에 4개[이족·강족·티벳족], 귀주성에 11개[이족·회족·묘족·부이족·거로우족·토가족·동족·수족], 운남성에 29개[이족·회족·하니족·타이족·와족·라후족·부랑족·나시족·요족·바이족·푸미족·독룡족·노족·리리족], 감숙성에 7개[하사크족·몽골족·유고족·티벳족·회족·동향족·보안족·사라족], 청해성에 7개[회족·토족·사라족·몽골족], 신강위그르자치구에 6개[타지커족·시버족·회족·몽골족]가 있다.
120개의 자치현은 조선족을 비롯하여·만족·몽골족·회족·서족·토가족·동족·묘족·요족·모남족·요로족·이족·강족·티벳족·부이족·치로우족·수족·하니족·타이족·와족·라후족·부랑족·나시족·바이족·푸미족·독룡족·노족·리리족·하사크족·유고족·동향족·보안족·사라족·타지커족·시버족 등 민족의 집거 지구라 할 수 있다.
집거 지구는 어느 한 곳에 소수 민족이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면서 형성된 구역을 말한다. 상대적인 개념이다. 중국에서는 해당 지역의 인구 비례에서 차지하는 소수 민족의 수에 따라 자치구·자치주·자치현을 두고 있다. 중국 전역으로 보면 56개 민족이 함께 어우러진 형국이지만, 그 속에서 소수 민족의 집거 구역에 따라 해당 민족에게 자치 권리를 부여하고 민족 자치 기관을 설립하였다.
신강위그르자치구라 하지만 하사크족·회족·몽고족·키르키즈족 등이 5개 자치주를 형성하고 있고, 타지커족·시버족·회족·몽골족 등이 6개 자치현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집거 지구의 사정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