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촌[무순시]

한자 大道村[撫順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요령성 무순시 전전진 대도촌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촌
가구수 260세대[1950년대]
인구[남/여] 900여 명[1950년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9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8년 10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8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1년 7월 18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9년 7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0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4년 6월 6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6년 2월 15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0월 18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22일
지역명 요령성 무순시 전전진 대도촌
정의

요령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순성구(順城區) 전전진(前甸鎭)에 위치한 조선족 마을.

개설

대도촌은 심길 철도 무순북역에서 동쪽으로 약 7㎞ 떨어진 전전역 남쪽, 혼하(渾河) 북안의 평원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전전진 인민 정부 소재지인 고산촌(靠山村)에서 남쪽으로 약 2.5㎞ 떨어져 있고, 동쪽으로는 갑방촌(甲邦村)·전전촌과 이웃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포가촌(鮑家村)과 인접해 있다. 남쪽으로는 혼하가 흐르며 북쪽으로는 무순현림 작업소 묘목장이 있다.

명칭 유래

청나라 도광(道光) 연간(1821~1850)에 선종(宣宗) 도광제(道光帝)가 조상의 묘가 있는 신빈 영릉까지 어도(御道)를 닦았다. 당시 무순에서 청원, 신빈, 통화를 가기 위해서는 대도촌을 경과해야만 했다. 황제 일행이 행차할 때면 큰길에 누런 황토를 12장 너비로 깔았는데, 이를 ‘대도’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이후 큰길 동쪽으로는 호(胡)씨 성을 가진 한족이, 서쪽으로는 나(羅)씨 성을 가진 한족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마을이 형성되면서 이를 동대도, 서대도로 부르다가 후에 통틀어 대도촌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형성 및 변천

대도촌 지역에 1664년 승덕현이 설치되었고 소재지는 심양구에 두었다. 1902년에 승덕현 동부 지역이 분리되어 흥인현(興仁縣)이 설치되면서 이에 소속되었다. 1908년 흥인현은 무순현으로 개칭되었고, 소재지는 무순성으로 옮겨가 그 관할에 속했다. 1912년 중화민국이 들어선 뒤 봉천성이 설치되고 봉천성 무순현에 소속되었다.

1929년 동북 정무위원회가 설립되면서 봉천성 요령성으로 개칭하여 요령 무순현에 소속되었다. 1931년 ‘9·18 사변[일본의 침략]’으로 무순 지역이 일본에 의해 강점되었다. 1932년 요령성이 봉천성으로 개칭되면서 봉천성 무순현 관할지역에 소속되었다. 1937년 위 무순현 공서에 소속되었다. 1945년 11월, 안동성(安東省)무순현 민주 연합 정부에 소속되었다. 1946년 무순현과 심철무(沈鐵撫) 연합현에 소속되었다. 1948년 10월 안동성 무순현에 소속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서면서 1949년 요동성 무순현에 소속되었고 토지 개혁이 실시되었다. 1952년 무순현에 속했던 것을 취소하고 농업 임업국에서 관리하였다. 1953년 농업 임업국이 폐지되면서 무순시 교구 판사처가 설립되었고 1954년 무서구에 소속되었다. 1956년 고급 농업 생산 합작사가 설립되면서 동려사에 귀속되어 대도 작업구라고 하였다.

1958년 중국에서 농촌 인민공사화 운동이 시작되면서 하북구 동북인민공사에 소속되었다. 1959년 하북구 인민위원회가 폐지되고 제2차 교구 판사처가 설립되면서 그에 소속되었다. 1961년 7월 18일 교구 판사처가 폐지되고 무순현제가 회복되면서 전전인민공사에 소속되었는데, 1978년 9월, 무순시 교구 사업위원회가 설립된 이후, 전전인민공사에 소속되었다. 1979년 7월, 중국 공산당 무순시 교구 위원회가 만들어지면서 교구 사업위원회는 폐지되었다. 1980년 10월, 무순시 교구 위원회는 무순시 교구 인민 정부로 개칭되었다.

1983년 8월, 전전인민공사가 폐지되고 전전향 인민 정부와 향 경제 연합 관리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대도 조선족 생산대대와 대도 한족 생산대대는 각각 대도 조선족 촌민 관리 위원회, 대도 한족 촌민 관리 위원회로 개칭되었다. 1984년 6월 6일, 전전향 인민 정부는 전전조선족향으로 바뀌었다가 1986년 2월 15일에 전전조선족향은 다시 전전조선족진으로 바뀌었다. 1999년 10월 18일에 전전조선족진은 전전진으로 개칭하였다. 2003년 7월 22일, 대도 조선족 촌민 관리 위원회와대도 한족 촌민 관리 위원회가 합쳐져 대도촌 촌민 관리 위원회로 개칭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자연 환경

대도촌은 중온대 기후에 속하지만, 장백산맥의 영향으로 춥고 서늘한 편이며 습윤성 온대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 연 평균 기온은 5.5~7.4℃이며 일조 시간이 길고 토질이 비옥하며 수원이 풍부하여 농사에 적합하다.

대도촌의 남쪽에 흐르는 혼하는 청원만족자치현곤마령(滾馬岭)에서 발원하여 서쪽의 대화방 저수지로 흘러 들어갔다가 장당(章党), 동주(東注), 갑방, 대도, 무순시 경내를 통과하여 심양과 영구시를 지나 요동만으로 흘러 나간다. 혼하의 총 길이는 415㎞인데, 대도촌 경내를 흐르는 혼하의 길이는 약 2㎞이다.

현황

1950년대 대도촌에는 340세대, 1,100여 명이 거주했는데, 한인[조선족]은 260세대, 900여 명이 있었다. 현재 대도촌에 남아 있는 조선족은 20~30세대 정도이며, 노인들이 대부분이다. 2011년에 결혼식을 올린 조선족 청년 남녀는 모두 5명에 불과했다.

2007년부터는 20여 호 넘는 가구가 500여 마리의 너구리를 사육하여 수입을 올리고 있다. 2010년 대도촌 농민들의 1인당 연 평균 소득은 9,800 위안이다.

참고문헌
  • 리윤선, 『무순 대도 조선족 100년』(2012)
  • 「무순시 대도촌 너구리 사양으로 치부」(『길림 신문』, http://kr.chinajilin.com.cn/econ/content/2007-01/22/content_41696.htm)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