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七星板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밑바닥에 깔아 시신을 고정시키는 관 속의 얇은 판.
칠성판은 시신을 관에 넣기 전에 임시로 시신을 얹어 놓는 널로 여기에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일곱 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고 해서 '칠성판'이라 불린다. 이렇게 널판지에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일곱 개의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 풍습은 북두칠성이 인간의 수명이나 길흉화복을 주관한다고 믿는 도교 신앙에서 비롯되었다.
칠성판은 시신을 올려두는 중요한 널로 북두칠성을 구멍으로 새겨두었다. 과거 전통 장례의 중요한 필수품이었으나 후에 널판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화장 등이 보급되면서 사라졌다. 칠성판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허다하다.
시신에 수의를 입히고 감장을 하는 소렴 과정을 마치면 시신을 칠성판 위에 올려둔다. 칠성판은 너비 40㎝, 길이 170㎝ 정도 되는 널판인데, 윗면에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어 칠성판이라고 한다.
입관을 할 때는 관 아래에 칠성판을 깔고 그 위에 시신을 올려두고 명정(銘旌)을 놓는다. 그러나 관을 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에도 시신에 수의를 입히고 흰 천으로 싸서 일곱 마디로 묶은 다음 칠성판 위에 눕힌다. 합장을 할 때도 먼저 사망한 시신을 둘 때도 칠성판에 놓고 감장을 한다. 유골을 감싼 칠성판을 묻을 때 여자의 유골은 남자의 오른쪽에 묻는다. 화장이 보급된 초기에는 관을 사용하지 않고 시신을 칠성판 위에 올려놓은 채 화장터로 이동하였다.
칠성판은 민간에서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것이고, 칠성판 밑바닥에는 짚을 둥글게 말아서 토막을 만들어 받침대로 깔았다. 그것은 방바닥의 온기가 시신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