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떡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정의

중국 동북3성의 한인들이 즐겨 먹는 옥수수로 만든 떡.

개설

흑룡강성의 어느 한인[조선족] 마을에 살았다고 하는 김만철 노인의 기억에 따르면, 1959년에 공공 식당 제도를 실시했는데 그때 식당에서 흔히 먹은 것이 옥수수 찜떡이었다고 한다. 옥수수 가루를 반죽하여 발효시킨 후 속에 구멍을 내고 원추 모양으로 만들어 쪄먹었다고 한다.

3년 자연 재해라 불리는 1960년, 1962년과 1963년 그리고 그 이듬해인 1964년까지는 옥수수대를 썰어 가라앉혀 전분을 만들거나 혹은 콩잎을 말린 뒤 썰어서 그것들을 옥수수 가루에 섞어서 만든 옥수수 찜떡을 먹었다고 한다.

만드는 법

옥수수 전분이 아니고 직접 옥수수를 분쇄한 옥수수 가루에 밀가루 혹은 찹쌀 가루를 얼마간 넣는다. 가루 우유와 적설탕을 조금씩 넣는다. 효모는 따뜻한 물에 풀어 자료와 함께 반죽한다. 반죽은 따뜻한 곳에 두 시간 놓아두어 발효시킨다. 떡을 빚은 후 물이 끓어오르면 시루에 얹어 15~20분간 찐다.

참고문헌
  • 「옥수수떡의 진화사」(『흑룡강 신문』, 2009. 9. 2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