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朝鮮 獨立 同盟 支部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흑룡강성 하얼빈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항일단체 |
|---|---|
| 설립자 | 조선 독립 동맹 북만 특별위원회|김택명(이상조)|정경호|현용조| 현정민 |
| 설립 시기/일시 | 1943년 10월 6일 |
| 해체 시기/일시 | 1946년 7월 |
| 최초 설립지 | 하얼빈시 등 |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존속했던 조선 독립 동맹 북만 특별 위원회 산하의 각 지부 조직.
조선 독립 동맹은 조선과 동북에서의 조직을 확장하고 반일 투쟁을 폭넓게 전개하기 위하여 김택명(金澤明, 본명 이상조(李相朝))을 동북으로 파견하였다.
김택명은 동북으로 올 때 여러 가지 임무를 부여받았다. 동북과 조선에 반일 단체를 중국화북의 독립 동맹과 연계하는 것, 조선의 유명한 진보적 민족주의자들과 접촉하여 혁명 단체를 조직하고 통일 전선 단체를 건립하는 것, 조선의 공산주의자들과 연계하여 운동을 전개하는 것, 동북의 항일 무장대와 연계하고 동북 지방 조선 청년들을 참가시켜 항일 무장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 기성 조직을 발견하지 못하면 자력으로 조선 민족 반일 통일 전선을 결성하여 조선 민족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 등이었다.
김택명은 1943년 5월 5일 하얼빈 파언현 서집진동성 농장에서 조경현과 함께 1943년 5월 5일 조선 독립 동맹 제12지부를 결성하였다.
김택명은 1943년 10월 6일 하얼빈에서 정경호, 현용조, 현정민과 함께 회의를 열고 ‘조선 독립 동맹 북만특별공작 위원회(북만특위)’를 건립하였다. 회의 후 정경호는 하얼빈시 삼과수, 호란현을, 김용진은 수화연, 상지현, 연수현을, 현정민은 유수현, 설란현 등을 책임지고 활동하기로 하였다.
1945년에는 수화지부, 상지지부, 파언 동성지부 등에서 무기, 약품, 식량 등을 비축하여 유격전을 준비하였다.
김택명은 1943년 말 하얼빈 파언현 서집진동성 농장에 잠입하여, 조경형을 조선독립 동맹원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김택명과 조경형은 동성 농장에서 원용주, 김용덕, 한탁주 등을 맹원으로 받아들이고 1943년 5월 5일 조선 독립 동맹 제12지부를 결성하였다.
김택명은 행상으로 가장하여 하얼빈을 중심으로 여러 곳을 다니며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3년 10월 6일 하얼빈에서 동과수 농촌의 정경호, 수화현에 장유툰에 있는 현용조, 하얼빈의 현정민과 함께 회의를 열고 ‘조선 독립 동맹 북만 특별 공작 위원회(북만특위)’를 건립하였다. 회의 후 정경호는 하얼빈시 삼과수, 호란현 등지를 책임지고 조직을 발전시켰으며, 김용진은 수화연, 상지현, 연수현을 다니며 맹원을 흡수하여 조선 독립 동맹 지부를 건립하였다. 현정민은 유수현, 설란현 등을 책임지고, 류수현 청산포 지부를 세웠다.
1945년 조선 독립 동맹 북만특위 수화지부에서는 배낭을 준비하고 방한복, 소금, 성냥과 약간의 식량, 간단한 약품 등을 준비하였다. 상시지부에서는 약간의 무기도 준비하였으며, 파언 동성지부에서는 조경형, 김철준 등이 자위대의 무장을 장악하고 있었다.
1943년부터 하얼빈시를 중심으로 조선 독립 동맹 북만 특별 위원회의 지부로서 활동하여, 이후 하얼빈시에서 조선인이 정착하는데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