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朝鮮人會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친일 단체 |
|---|---|
| 설립자 | 일본 관동군 |
| 설립 시기/일시 | 1932년~ |
| 최초 설립지 | 만주 조선인 주거 지역 |
1930년대에 일본 관동군이 관여하여 설립된 친일 선전 단체.
일제가 1930년대에 조선인들에게 시행한 ‘통제-안정’ 정책은 기만적인 통치 정책으로 1910~20년대 조선인에게 실시한 ‘통제-이용’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
1932년 8월 일본 관동군은 만철경제조사회를 시켜 ‘재만 조선인 이민 대책 요강’을 만들게 하고, 조선인에 대한 ‘통제-안정’ 정책을 제정하였다. ‘통제’란 정치 및 군사면에서 조선인들의 항일 투쟁을 탄압하고, 조선인과 항일 유격대와의 연계를 단절시킨다는 뜻이다. ‘안정’이란 경제면에서 조선인들의 ‘반일적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선 빈민들을 ‘안정’시키는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조선인들을 일본자본의 ‘통제’ 하에 두려는 것이다.
조선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일제는 ‘9·18 사변’ 후 조선인 거주 지역에 영사관과 경찰서를 증설하고, 1932년부터는 이른바 ‘치안 숙정(治安肅正)’ 계획을 정하여, 항일 유격 근거지에 대한 군사적 ‘토벌’을 단행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조선인들의 반일의지를 약화시키기 위하여, 친일 단체인 ‘조선인회’ 등을 동원하여 ‘민족협화(民族協和)’, ‘내선일체(內鮮一體)’ 등을 선전케 하였다
조선인들의 반일 의지를 마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민족협화’, ‘내선일체’ 등을 선전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