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우회

한자 工友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사회주의 단체
설립자 중국 공산당 동만 특별 위원회
설립 시기/일시 1928년
최초 설립지 길림성 연길현
정의

1928년 중국 공산당 동만 특별 위원회(中共東滿特別委員會)가 건립된 후 연길(延吉)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

개설

연변지역의 조선인들은 1910년 이후부터 반일 문화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3·1 운동 이후에는 ‘국민회’·‘맹호단’ 등의 반일 단체를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금하거나 일제 군경을 습격하는 등의 투쟁을 펼쳤다. 연변에 ‘중국 공산당 동만 특별 위원회(中共東滿特別委員會)’가 건립되자 류건장 등 지하당원들은 각 학교에 침투하여 지하조직을 만들고, 노동자들과 ‘공우회’를 조직하였다. 1930년대 이후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일국일당의 원칙’에 따라 중국 혁명에 참가하였다. 그 결과 중국 공산당 연길현 구위가 건립되었고 사범학교·중학교·직업학교 등에서 지하 지부를 건립하고 혁명 운동을 전개하였다.

설립 목적

중국 공산당 동만 특별 위원회는 중국 공산당 만주 성위의 지시로 연변 지역에 당 기관을 설립하고, 학생 및 노동자들에게 혁명 이념을 선전하고 애국 주의를 선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중국 공산당은 1921년 7월 상해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당원 간부를 동북(東北)에 파견하여 혁명 활동에 종사하게 하였다. 한인 첫 중국 공산 당원이었던 한낙연(韓樂然)은 1924년 봄 동북에 파견되어, 봉천·하얼빈 등지에서 사업을 하면서 청년 운동을 지도하였다.

1927년 10월 24일 하얼빈의 도리구(道里區)에서 ‘동북 제1차 중국 공산당 대표 대회’가 열리고,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성(省) 당위 기관을 봉천에 두면서, 동북지구에 통일적인 당기관이 있게 되었다.

1928년 초반 중국 공산당 만주성위는 민중·혁명 운동의 토대가 좋은 연변에 중국 공산당 당원인 주동교를 파견하여 당 조직을 건립하고 발전시키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래서 1928년 2월 연변의 최초 중국 공산당 조직인 ‘중국 공산당 용정촌 지부’가 『민성보』사를 거점으로 건립되었고, 주동교가 당지부 서기를 맡았다.

1928년 여름 『민성보』의 한문판 주필인 안회음이 신문사 진보 세력들과의 마찰로 천진으로 돌아가자, 주동교는 중국 공산당 만주성위에 당 간부 파견을 요구하였다. 그 결과 공산당원인 손좌민·이별천이 파견되어 신문사에 취직하게 되었고,『민성보』는 중국 공산당 용정촌 지부의 중심이 되었다.

1928년 3월부터 6월에는 ‘중국 공산당 북방국’에서 지방 교육에 필요한 북평의 교원을 파견해달라고 요구에 응하여, ‘향산 자유원(香山慈幼院)’의 졸업생인 17명의 공산 당원과 공청 당원을 함께 파견하였다.

연변에 도착한 17명은 주동교 및 중국 공산당 용정촌 지부와 함께 ‘지하건당사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1928년 7월에 각지에는 기층 단지부가 세워지게 되었다. 8월에는 중국 공산당 만주 성위의 지시에 따라 ‘중국 공산당 동만구위’가 건립되었고, 조직을 『민성보』에 두었다. 조직의 임원으로는 주동교가 서기, 류건장이 조직위원, 조지강이 선전 위원을 맡았다. 류건장과 조지강은 모두 향산 자유원의 졸업생이였다. 중국 공산당 동만구위 1928년 10월에 재조직되었는데, 서기에 주동교가, 조직위원에 이별천, 선전위원에 손좌민이 임명되었다.

중국 공산당 동만 구위와 그 산하의 당 조직에서는 학교를 기본 조직으로 학생들에게 혁명이념을 선전하고 애국주의를 선양하면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 나갔다. 하지만 1929년 1월 15일 중국 공산당 동만구위 서기 주동교와 2월에 서기대리인 유건장이 용정에서 체포되면서, 손좌문·이별천 등 북평에서 온 당원들이 연변을 떠났고, 위원회는 사실상 와해되고 말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28년 3월부터 6월까지 ‘중국 공산당 북방국’에서 파견된 ‘향산 자유원(香山慈幼院)’ 출신의 17명은 8월에 중국 공산당 만주성위의 지시에 따라 ‘중국 공산당 동만구위’를 건립하고, 학교를 기본 조직으로 하면서 학생들에게 혁명 이념을 선전하고 애국주의를 선양하며 조직을 확대하려고 하였다. 또한 노동자들과 함께 공우회를 조직하였다.

의의와 평가

공우회의 건립 과정을 통해 1920년대 후반 연변 지역 공산 주의자들의 조직 설립과정과 활동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 박청산, 『내고향연변』(연변인민출판사, 200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