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 청년회

한자 新星 靑年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흑룡강성 하얼빈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북만주 지역 청년단체
설립자 지역 청년
설립 시기/일시 1920년대 초
최초 설립지 길림성 반석현
정의

1920년대 북만주의 여러 지역에서 조직된 청년 단체의 하나로서 ‘북만 조선인 청년 총동맹’ 창립에 참여한 단체.

설립 목적

1920년대 초반 만주지역에는 사회주의 사상이 급격히 전파되면서 젊은 지식인과 학생·청년들 사이로 확산되었다. 사회주의를 수용한 이들은 단체를 결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풍속 개량, 음주·도박 금지, 신문화 습득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사회주의 사상도 공부하려는 것이었다. 이 시기 만주 지역의 민족운동은 반봉건적 운동 성격의 계몽운동으로 전개되었으며, 수양적 성격을 갖고 있는 이러한 청년단체의 등장은 이주 한인들의 뜻이 반영된 결과였다.

변천

신성 청년회는 1920년대 북만의 여러 지역에서 조직된 많은 청년 단체들 가운데 하나였다. 이 단체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을 중심으로 청년단체를 조직하고, 효과적인 수양과 항일 투쟁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당시 사회주의 운동 계열의 파벌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북만 지방의 청년운동은 통일될 수 없었다.

신성 청년회는 1926년 5월 아성현(阿城縣)의 개성학교에서 북만지방 청년단체의 통일을 표방하며 결성된 북만 조선인 청년 총동맹이 창설될 때 중요 청년 단체 가운데 하나로 가담하였다. 이 당시 참여한 다른 청년 단체로는 대동 청년회·중동선 조선인 청년 연합회·3동일 청년 연합회·프로 청년회·아성 청년회·노동 청년회·9월 청년회 등이 있다.

또한 ‘아성 청년회’·‘보라 청년회’·‘대동 청년회’·‘동일 청년회’·‘중동 철도연선 조선인 청년 연합회’·‘신성 청년회(新星靑年會)’·‘구월 청년회’ 등은 ‘북만 청년 총동맹’에도 가담하였다.

의의와 평가

1920년대 중반 북만지역 청년 운동의 통일을 이루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중국조선민족발자취편집위원회 편,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2 : 불씨』(민족출판사, 1999)
  • 상지시 조선 민족사 편집 위원회, 『상지시 조선 민족사』민족 출판사,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