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 학당

한자 養正 學堂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개산둔진 광소촌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이동춘
개교 시기/일시 1907년 3월
개칭 시기/일시 1901년
개칭 시기/일시 1908년
개칭 시기/일시 1944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9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1년
최초 설립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개산툰진 광소촌
정의

길림성연변에 설립된 조선족 중학교 과정의 학교.

변천

양정 학당은 1907년 3월, 이동춘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동춘화룡욕 분방 경력(和龍峪分防經歷)장조린의 지지와 영원보 13사 총향악(十三社總鄕約) 현덕승의 도움으로 한인들로부터 기금을 마련하여 광제욕[지금의 용정시 개산툰진 광소촌] 광소사 상천평에 양정 학당을 세웠다. 양정(養正)이란 학생들의 민족적 기개를 키운다는 뜻이었다. 양정 학당은 훈춘현 동광 학교와 서전 서숙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연변에 세워졌다.

이듬해 양정 학당은 1908년 3월에 사립 학교 중에서 가장 먼저 관립 학교가 되었다. 1901년에 명동 일대의 달라자에 화룡현이 설치되면서 양정 학당은 현립 2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성의 소학교가 현립 1교로 되고 양정 학당이 현립 2교로 되었다.

당시 현립 2교는 초등 4년제와 고등 3년제의 학교로 교원 6명[조선족 3명], 학생 128명[조선족 114명]이었다. 1912년 관준연(關俊彦)이 교장에 부임하였고, 1915년에 수신·국문·산수·역사·지리·창가·체육·농업·수공·영어 등의 학과목을 가르쳤다. 1925년에 현립 2교에는 학생 동자군(童子軍) 조직이 설립되어 학생 호위, 질서 유지 역할을 하였다.

1928년 북경 향산 자유원(慈幼院) 사범반 학생들인 이덕보·호전·하석광 등 3명의 공산당원과 조아범 외에 1명, 공청당원 총 5명이 교원으로 부임하였다. 이해 10월에 현립 2교에는 광제욕 당 지부가 설립되어 학생들에게 반일 사상과 사회주의를 선전하였다.

1929년 이퇴치·이연록 등이 교장으로 부임하였고 학교에 학생 자치회가 설립되었다. 1931년 9·18 사변 당시 일제의 만행으로 일부 교원들이 희생되었고 남은 교원들은 부득불 학교를 떠나야만 했다. 1934년 연길현립 학교, 1944년 공립 천평 국민 우급 학교로 개칭하였다. 지금의 개산툰진 광소 소학교이다.

교육 활동

양정 학당은 중국식 초가 14칸으로 이루어졌는데 교실이 3칸이고 숙사가 6칸, 나머지 5칸은 주방과 식당으로 사용했다. 초창기에 영원보의 13개사에서 8~9살부터 20살 이하의 조선인 자녀 60명을 받아들였고·첫 해에 중문·중어·일본어·산학·체조 5개 과목을 설치하였다.

교원은 2명이었는데 이동춘이 학교 관리를 하면서 중어·일본어·체조과를 맡고 조선족 피원경이 중문·산학을 맡았다. 이동춘은 학교 운영에서 공개적으로 “반일 친중(反日親中)”의 기치를 내걸고 학생들에게 배일 사상과 민족 의식을 고취시켰다. 1908년 2월 화룡욕 분방 경력허덕유는 양정 학당을 시찰하고 변무 독판과 방판에게 올린 서한에 “편벽한 산간 마을에 이렇듯 드높은 교육 열의와 향학의 진취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실로 흔치 않다”고 썼을 정도였다.

참고문헌
  • 설경수,「1900년대 북간도 지역 양정 학당의 설립과 운영」(국민대 석사 학위 논문, 2013)
  • 이함, 「양정 학당 4대 중학교 기독교 출신의 산물」(『중국 조선족 문화 통신』, 2009. 9. 15)
  • 광소 소학교 소개
  • http://ourac.com/bbs/zboard.php?id=school_info&page=2&sn1=&divpage=1&category=15&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2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