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진

한자 吳東振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광복군 총영|대한 통의부|정의부
출생 시기/일시 1889년 8월 14일
수학 시기/일시 1910년대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20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1924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8월
몰년 시기/일시 1944년
출생지 평안북도 의주군 광평면(廣坪面) 청수동(靑水洞)
거주|이주지 요령성 관전현
학교|수학지 평양
활동지 요령성 관전현
활동지 요령성 관전현
활동지 요령성 관전현
활동지 요령성 환인현 마권자
활동지 요령성 환인현
활동지 길림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광복군 총영(光復軍總營)·대한 통의부·정의부 등을 통해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가계

1889년 8월 14일 평안북도 의주군 광평면(廣坪面) 청수동(靑水洞)에서 출생 하였으며, 본관은 해주이며, 생모는 한씨(韓氏)이다. 1914년 부인 이양숙(李陽淑)과 결혼 하였으며, 만주로 망명하기 직전에 출생한 아들 경천(京天)이 있다.

활동 사항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 하였으며, 평양에서 안창호(安昌浩)가 설립한 대성 학교(大成學校)에 입학 하였으며, 1913년 속성 사범과를 졸업하였다. 이때 기독교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졸업 후 향리로 돌아와 일신 학교(日新學校)를 세우고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3·1 운동이 발발하자 적극 가담하였으며, 만주 관전현으로 망명한 후 광제 청년단(廣濟靑年團)에 가담하였으며, 1919년 11월 대한 청년단 연합회(大韓靑年團聯合會)에 가담하여 교육부에서 활동 하였다.

1920년 5월 광복군 총사령부가 광복군 총영으로 개편되자 총영장(總營長)에 추대되어 활발한 국내 진공 작전(進攻作戰)을 전개하였다. 8월 미국 의회 의원단이 국내를 방문하자 대규모의 항일 무장 투쟁 계획을 추진하였으며, 이 사건으로 그는 궐석 재판을 통해 징역 10년을 언도받았다.

1922년 대한 통의부가 결성되자 교통부장, 재무부장, 민사부장 등을 맡아 교민 사무에 종사하였으나 1924년 의용군 사령관 신팔균(申八均)이 전사하자 사령관에 취임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1925년 정의부가 조직되자 초기에는 중앙 집행위원으로 생계 위원장직을 맡아 활동하였으며, 이후 군사부 위원장 겸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역시 과감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1927년 8월 정의부의 이념 정당이었던 고려 혁명당에 참가하였으며, 농민 호조사(農民互助社)에도 가담하였다.

1927년 12월 26일 일제의 밀정 김종원(金宗源)의 간계에 속아 장춘에서 체포되었다. 오동진이 체포되자 1928년 정의부 의용군의 김여영(金汝英)은 신의주에 잠입해 오동진을 구하려다 체포되었으며, 박경철(朴景喆) 외 7명의 대원들이 오동진 구출 결사대를 조직하여 실행에 옮기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무산되기도 하였다.

1929년 12월 6일 예심 종결과 함께 신의주 지방 법원에서 무기 징역을 얻도 받았으며, 17년의 옥중 생활 끝에 1944년 옥사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독립유공 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한시준 외, 『광복의 역사 인물』 (연합 뉴스, 1999)
  • 申載洪, 「吳東振 硏究」( 『국사관 논총』 4, 국사편찬위원회, 1989)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