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反日 護路 聯合會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1928년 1월 중국의 동만 지역에서 결성된 항일 운동 단체.
1928년 1월 13일 용정에서 청년 단체의 민족 전선과 통일성 강화를 위해 반일 호로 연합회가 결성되었다. 반일 호로 연합회는 조선인 청년 대중의 정치·경제·민족적 이익 획득을 위해 절대 투쟁하자는 강령과 함께 전 민족의 단일당 수립과 식민지 교육 정책 폭로 등의 슬로건을 내세웠다. 반일 호로 연합회는 동만 청년 총연맹[동만청총]의 영향 하에 있었다.
1928년 5월부터 만주 전역의 청년 단체는 봉천성 반석현에서 결성된 재중국 한인 청년 동맹에 지부 형식으로 가입해야만 했다. 다만 동만 지역은 특수성을 인정받아 동만청총 역시 ‘특별구’로 인정받았다. 이에 반일 호로 연합회도 존속하였다.
하지만 1928년 9월 일제의 간도 총영사관 경찰서에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 총국 회원들이 검거되는 ‘제2차 간도 공산당 탄압 사건’이 일어나자, 뒤이어 10월 동만청총 간부들도 거의 검거되었다. 그 뒤 반일 호로 연합회도 동만청총과 더불어 해산되고 말았다.
반일 호로 연합회의 결성 당시 회원은 5,000여 명이었다. 1928년 8월 당시 중앙 집행위원장 최영근(崔榮根), 중앙 집행위원은 김두용(金斗容)·김하정(金河晶)·김진탁(金振鐸) 등 11명이었다.
또 중앙 검사 위원장은 김옥정(金玉亭), 중앙 검사 위원은 김효종(金曉鍾)·이균(李均), 중앙 상무 서기는 김영호(金英鎬)가 맡았으며, 산하에 문화부·조직부·조사부·소년부·여자부·체육부 등을 두었다.
반일 호로 연합회는 사실상 동만 지역 한인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대중 단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