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吉林 救國軍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군대 |
|---|---|
| 설립자 | 왕덕림 |
| 설립 시기/일시 | 1932년 2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32년 2월부터 1933년 1월까지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33년 7월 3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31년 12월 7일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춘양 |
길림성 변방군 소속 중국인 왕덕림(王德林)이 부대를 이끌고 나와 1932년 왕청현 춘양에서 항일의 기치를 내걸고 세운 항일 부대.
1931년 12월 7일 안도현 명월구에 주둔하고 있던 길림성 변방군 제677단 3영의 병사들이 명월구 서남쪽 옹성라즈의 방어 구역 내 들어온 일본인 측량원을 쏘아 죽인 사건이 발생했다.
일제는 즉각 길림성 정부 및 길림에 주둔하고 있던 동북군에 항의했다. 이에 대해 부대의 책임자인 왕덕림은 정당한 임무 수행이었음을 표명했다. 그러자 동북군 부사령 장관 공서 참모장 희흡 등은 왕덕림 부대를 명월구에서 철수시키고자 계획했다. 군사 회의를 열고 왕덕림에게 부대를 인솔해 흑룡강성으로 가서 마점산 부대를 토벌할 것을 명령했다. 희흡의 계략을 간파한 왕덕림은 명령을 거부하고 부대를 이끌고 항일의 길로 나섰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