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백규

한자 姜伯奎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대한 독립 기성 총회 국자가 방면 대표|간도 청년회 부회장|제1회 국민 위원회 후보 국민 위원
출생 시기/일시 1881년
수학 시기/일시 1906년
활동 시기/일시 1908년
활동 시기/일시 1914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19일
활동 시기/일시 1920년 3월~4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2월
몰년 시기/일시 1946년 9월 11일
추모 시기/일시 1963년
추모 시기/일시 1990년
추모 시기/일시 1994년 10월
출생지 미상
학교|수학지 북간도 용정
활동지 북간동 용정
활동지 북간도 화룡현 호천포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국자가
활동지 길림성 훈춘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와룡동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팔도구
활동지 블라디보스토크
묘소 국립 대전 현충원 애국 지사 묘역
정의

일제 강점기에 중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강백규[1881~1946]는 1906년 이상설(李相卨)이 북간도 용정(龍井)에 설립한 서전 서숙(瑞甸書塾)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강백규는 1908년 용정 후저동에서 정동 서숙을 창립하였다. 1911년 간민회(墾民會) 부속 길동 기독 학당(吉東基督學堂) 졸업생이 조직한 동제회(同濟會)에서 활동하였다. 1914년 9월 북간도 화룡현(和龍縣) 호천포(湖泉浦)에 기독교 계통의 청호 학교(淸湖學校)를 설립하여 조선인 청년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시켰다.

1919년 3월 강백규는 대한 독립 기성총회(大韓獨立期成總會)가 조직되자 이홍준(李弘俊)·서성권(徐成權) 등과 함께 간도 국자가(局子街) 방면의 대표로 활동하였다. 대한 독립 기성총회는 당시 북간도 일대에 3·1 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이 지역 항일 운동가들이 구춘선(具春先)을 회장으로 하여 독립운동의 통일체로서 조직한 단체로서, 3월 13일 「독립 선언 포고문」을 발표하고 만세 시위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그해 4월 19일 구춘선(具春先)·김병흡(金秉洽)·고평(高平) 등과 함께 훈춘(琿春)으로 가서 이곳의 국민 의회 조직에 참여하였다. 5월에는 노령의 신국민 대회(新國民大會)에 김병덕(金秉德)·구춘선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강백규는 1920년 3월 연길현 와룡동에서 서성권·강상모(姜尙模)·김강(金剛) 등과 함께 간도 청년회를 조직한 뒤 부회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이후 서성권과 함께 연길현 팔도구에서 무장 독립군인 대한 청년단(大韓靑年團)을 조직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22년 강백규는 고려 공산당에 가입하였다. 1924년 2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제1회 국민 위원회에서 방원성(方遠成)·김우희(金宇希) 등과 함께 10인의 후보 국민 위원 중 1인으로 선출되어, 『국민 위원회 공보』를 발행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국민 위원회는 김규식(金奎植) 등 임시 정부 창조파가 임시 의정원을 대신하여 설치한 조직이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94년 10월 유해가 국립 대전 현충원 애국 지사 묘역에 안장 되었다.

참고문헌
  • 김승학, 『한국 독립사』 하(독립 문화사, 1965)
  • 김정명, 『明治 百年史 叢書』 2·3(原書房, 1967)
  • 『한국 민족 운동 사료』2 (중국편)(국회 도서관, 1975)
  • 『해외의 한국 독립운동 사료』 20 (중국편 5)(국가 보훈처, 1997)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