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족 자치 연합회

한자 韓族 自治 聯合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흑룡강성 하얼빈시 상지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재만 한인의 자치 연합체
설립자 한국 독립당
설립 시기/일시 1930년 8월
최초 설립지 흑룡강성 주하현
현 소재지 흑룡강성 하얼빈시 상지시
정의

1930년 8월 흑룡강성(黑龍江省) 주하현(珠河縣)에서 한국 독립당(韓國獨立黨) 아래의 합법 조직으로 결성된 자치 연합체.

설립 목적

한족 자치 연합회는 첫째, 각지에 산재한 각 자치 기관을 연합하여 완전한 자치 실현을 도모할 것, 둘째, 일반 민중의 산업·교육, 기타 생활 안정을 도모할 것, 셋째, 대내외에서 각자 속부(屬部)로서 해결하고 가능하지 않은 문제 및 기타 공통성을 갖는 사업을 연합 실현시킬 것 등을 설립으로 하였다.

변천

1930년 7월 북만주 일대에서 활동하던 이청천(李靑天)·신숙(申肅) 등은 비밀 단체인 한국 독립당을 조직하고, 합법적인 단체로 1930년 8월에 한족 자치 연합회를 결성하였다. 한족 자치 연합회동빈현 주민회(同賓縣住民會)·주하현 주민회(珠河縣住民會)·아성현 주민회(阿城縣住民會) 등을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족 자치 연합회는 책임 간부 최송오(崔松悟), 산하에 군사부·실업부·재무부·교육부·조직부·선전부 등을 두어 활동하였다. 한족 자치 연합회한국 독립당에 의하여 지도·육성되었다. 한족 자치 연합회의 군사부는 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공산주의자들과 충돌하며 반공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주하현 하동 농장(河東農場)에는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산하의 농민 동맹원들이 다수 활동하고 있었다. 한족 자치 연합회 군사부에서는 그 지역 농민들의 토지 조득권(租得權)을 모두 몰수하는 한편 공산주의자들을 구축하였다.

의의와 평가

한족 자치 연합회는 북만 지역 한인사회의 완전한 자치 실현으로 목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 독립당의 산하 조직으로 반공 활동에 앞장섰다.

참고문헌
  • 박환, 『만주 한인 민족 운동사 연구』(일조각, 1991)
  • 한국독립유공자협회, 『중국 동북 지역 한국독립운동사』(집문당, 1997)
  •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 운동사(1920~1945) : 민족주의 운동 및 사회주의운동 계열의 대립과 연대를 중심으로』(아세아 문화사, 199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