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의용군 제3지대

한자 朝鮮 義勇軍 第3 支隊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흑룡강성 하얼빈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단체
설립자 중국 공산당 송강성 위원회|송강 군구
설립 시기/일시 1945년 11월 25일
개칭 시기/일시 1946년 6월
개칭 시기/일시 1948년 3월
개칭 시기/일시 1948년 11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5년 8월 11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7년 5월부터
최초 설립지 흑룡강성 빈현 배극도
정의

1945년 11월 일제와 만주국의 잔여 세력 청산 등을 목표로 재편된 조선 의용군의 여러 부대 가운데 하나.

설립 목적

중국 공산당 송강성(松江省) 위원회와 송강 군구(松江軍區)에서 일제와 ‘만주국’의 잔여 세력을 청산하고 국민당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하얼빈과 부근 여러 현의 한인 청년을 중심으로 조선 의용군 제3지대를 설립하였다.

변천

1945년 8월 11일 화북(華北)에서 대일 작전을 하고 있던 팔로군(八路軍) 산하 1,000여 명의 조선 의용군(朝鮮義勇軍)은 동북(東北)으로 진군하였다. 1945년 11월 조선 의용군심양시 교외 고력둔에서 제1지대·제3지대·제5지대 등 3개 지대로 재편되었다.

제1지대는 남만으로, 제3지대는 북만으로, 제5지대는 동만으로 진출하기로 하였다. 제3지대 지대장에 김택명(金澤明), 정치 위원에 주덕해(朱德海)가 임명되었다. 제3지대에는 김택명을 제외하고 연안 조선 혁명 군정 학교(朝鮮革命軍政學校) 출신 19명밖에 배정되지 않았다. 하얼빈에는 이미 1945년 9월 25일 김택명이 하얼빈 보안 총대 조선 독립 대대(哈爾濱保安總隊朝鮮獨立大隊)를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제3지대는 애초부터 상기 부대를 자신의 기본 골격으로 간주하였다. 11월 중순에 이르러 조선 독립 대대가 1,000여 명으로 급증하였다. 1945년 11월 25일 빈현 배극도에서 하얼빈 보안 총대 조선 독립 대대를 조선 의용군 제3지대로 재편성 하였다. 지대장 김택명, 정치 위원 주덕해 등이 임명되고 산하에 3개 대대를 두었다.

1946년 2월에는 3,000여 명으로 확대되었다. 1946년 6월 조선 의용군 제3지대는 동북 민주 연군 송강 군구 독립 8단(團)으로 재편성되었다. 1948년 3월, 독립 8단은 길림성연통산(烟筒山)에서 길동 경비 사령부의 조선인 부대와 목단강(牡丹江) 등지에서 온 조선인 전사들도 무어진 독립 14단과 회합하여 동북 인민 해방군(東北人民解放軍) 독립 11사로 재편성되었다. 1948년 11월 독립 11사는 중국 인민해방군(中國人民解放軍) 육군 보병 제164사로 재편되고 원 제3지대는 491단이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45년 11월 제3지대가 설립된 후 제1대대는 빈현에 남아서 송강 군구 사령부 경호를 맡았다. 제2·3대대는 목란·통하·동흥·방정·연수·상지 등 현성을 해방하는 전투에 참가하였다. 제3지대의 제 2·3대대는 1946년 2월 연수현에서 토비 숙청 전투에 참가하였다. 1946년 4월말 제3지대는 하얼빈시를 해방하는 전투에 참가하였다.

제3지대는 중국 공산당 중앙 동북국을 비롯한 성·시의 당정 기관과 수뇌부를 경호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무기·탄약·식량·약품·복장 등 군수품 창고, 송화강 철교, 발전소, 큰 공장 기업소도 수비하는 임무도 수행하였다.

하얼빈시에서는 사회 치안 유지를 위해 군경 연합 집찰대(軍警聯合緝察隊)를 건립하고 그 밑에 사법 집행 대대를 두었는데 그 임무를 제3지대 제1대대에서 맡았다. 또한 일부 병력을 하얼빈 교외 구역에 파견하여 대민 업무와 농지 개혁 운동을 보호하였다.

1947년 5월부터 제3지대 제 1대대는 가목사·부금·화남 등지에서 무기고를 지키는 임무를, 제2대대는 서만·남만에서 무기와 탄약을 전선으로 운송하는 것을 경호하는 임무를, 제3대대는 수분하와 할빈 사이의 무기 운송 경호를 담당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 의용군 제3지대는 북만주 지역에서 ‘조선 팔로군’이라 불렸다. 중국 공산당의 두터운 신뢰를 받아 중국 공산당 기관과 수뇌부를 경호하는 임무에 투입되었고, 일제와 ‘만주국’의 잔여 세력을 숙청하고, 북만주 지역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군과의 전투·토비 숙청·농지 개혁·북만 근거지 건설 등 분야에서 활약하면서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

참고문헌
  • 서명훈, 「조선 의용군 3지대의 탄생과 활동」,『조선 의용군 3지대』(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