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까무라 사건

한자 나까무라 事件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길림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사건
관련인물/단체 나까무라|관옥형|둔간군
발생|시작 시기/일시 1931년 6월 27일
전개 시기/일시 1931년 8월 17일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9월 18일
발생|시작 장소 흥안구 갈근묘 부근 소악공야부
정의

일본군 참모 본부원(參謀本部員) 나까무라 신타로우[中村震太郞] 대위(大尉)가 1931년 6월 27일 만주 조색(洮索) 지역에서 간첩 활동을 하다가 동행자들과 함께 중국군에 살해된 사건.

역사적 배경

만주의 조색 지역은 일본인의 여행이 법으로 금지된 지역이었다. 그런데 나까무라 대위를 비롯한 일행은 몽골인으로 변장하고 그 지역으로 잠입하여 간첩 활동을 전개하였다.

경과

나까무라 일행은 소악공야묘(蘇鄂公爺廟)에서 관옥형(關玉衡)이 지휘하는 둔간군 제3단(屯墾軍 第3團) 중국군에게 체포되었다.

결과

1931년 6월 27일 중국군은 나까무라와 동행하던 이스기엔타로우[井杉延太郞] 예비 조장(豫備曹長), 러시아인 1명, 몽고인 1명을 간첩죄로 확정 짓고 사살하였다. 일본 측은 1931년 7월 중순에 이 사건을 확인하고 그해 8월 17일 비로소 살해 사실을 공표하였다.

의의와 평가

나까무라 사건은 ‘만보산 사건’과 더불어 1931년 9월 18일 일본 관동군이 만주 지역을 무장 침략하는 빌미가 되었다.

참고문헌
  • 일본 근현대사 사전 편집 위원회, 編『日本近現代史辭典』,동양 경제 신보사, 1978
  • 「中村 대위 사건」(『동아일보』, 1931. 9. 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