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雙城堡 戰鬪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 지역 | 흑룡강성 쌍성보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한·중연합군의 만주지역 항일 투쟁 |
|---|---|
| 관련인물/단체 | 지청천|김창환|신숙|한국독립군|길림자위군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32년 9월 20일 |
| 종결 시기/일시 | 1932년 11월 22일 |
| 전개 시기/일시 | 1932년 11월 17일 |
| 발생|시작 장소 | 중국 흑룡강성 쌍성보 |
1932년 9월과 11월에 한·중 연합군이 하얼빈 서남방의 흑룡강성 쌍성보(雙城堡)에서 일·만 연합군을 상대로 벌인 항일 투쟁.
쌍성보 전투는 1932년 9월과 11월에 한국 독립당 산하 한국 독립군과 중국 의용군인 길림 자위군이 연합하여 일·만 연합군과 싸운 두 차례의 전투를 말한다. 당시 한국 독립군은 총사령 지청천(池靑天)과 부사령 김창환(金昌煥), 참모장 신숙(申肅)과 각 지대를 포함해 500명여 명의 병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길림 자위군은 수천 명에 달하였다. 당시 쌍성보에 주둔한 일·만군은 3,000여 명 정도였다.
1차 전투는 1932년 9월 20일 밤에 진행되었다. 세 방면을 포위한 한중 연합군은 치열한 공방전 끝에 쌍성보성을 점령하고 많은 군수 물자를 노획하고 약 2,000여 명의 만주국군을 생포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넓은 평지인 쌍성보는 수비가 어려웠으므로 소수의 중국 의용군만 남긴 채 부근의 우가둔(牛家屯)으로 철수하였다. 얼마 뒤 일·만군의 반격으로 쌍성보는 다시 빼앗겼다.
2차 쌍성보 전투는 그해 11월 17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계속되었다. 한중 연합군은 처음에는 쌍성보를 공격해 점령하는 데 성공하여, 성안에 있던 일본군 1개 중대가 거의 전멸하고 만주국군 일부는 투항하였다. 11월 20일 하얼빈 주둔 일·만군이 쌍성보 탈환을 위해 폭격기까지 동원한 대규모 병력으로 반격해왔다. 연합군은 완강히 저항했으나 끝내 물러나고 말았으며, 이후 4일간이나 계속 추격을 당하였다.
쌍성보 전투는 1차 전투에서는 대승했으나 2차 전투에서는 끝내 패전하였다. 패전 후 길림 자위군은 투항하여 겨울을 보내자는 등 크게 동요했다. 한국 독립군 역시 많은 손실을 입었으나 길림 자위군과는 결별하고 새로운 항전의 길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