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귀일당

한자 韓國 歸一黨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만주 지역의 항일 정치 단체
설립자 신민부 민정파
설립 시기/일시 1926년 9월
최초 설립지 길림성 영안현 영고탑
정의

1926년 9월 신민부(新民府)를 지도·운영하기 위해 북만주 영안현(寧安縣)에서 조직된 항일 정치 단체.

설립 목적

1926년 5월 영안현에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滿洲總局)이 설치되어 항일 운동에서 사회주의 운동계의 영향력이 커져가자, 김좌진(金佐鎭)신민부 민정파가 이념 정당의 필요성을 느껴 9월 영고탑(寧古塔)에서 결성하였다.

당이라는 형태를 통해 신민부 통치 아래 있던 한인의 의사를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현황

당의 명칭인 ‘귀일’은 종족·정신·산업으로의 귀일을 뜻하며, 이념은 대종교를 바탕으로 한 민족주의였다. 주요 간부로는 대종교(大倧敎) 지도자이자 신민부 연락 부위원장인 정신(鄭信), 중앙 집행위원회 위원인 유현(劉賢)[일명 운초(雲樵)], 이밖에 신영빈(辛英彬)·장준걸(張俊杰)·조관(趙寬) 등이 있었다. 당원은 1천여 명이었는데 간부와 당원의 대부분은 교인이었다.

귀일당의 결성에 따라 신민부는 당의 이념을 실현하는 행정 기관이 되었다. 신민부의 군대 역시 당군(黨軍)으로 운영하고자 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신민부는 1927년 12월 분열이 일어난 뒤 1929년 3월 완전히 해체되었는데, 귀일당의 해체는 분명치 않다.

참고문헌
  • 채근식, 『무장 독립운동 비사』(공보처, 1949)
  • 김준엽·김창순,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4 (고려 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1974)
  • 국사 편찬 위원회, 『한민족 독립운동사』 7 (1990)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학 중앙 연구원, 1991)
  • 신주백, 『만주 지역 한인의 민족 운동사(1920~1945)』(아세아 문화사, 1999)
  • 독립 기념관 독립운동사 연구소, 『한국 독립운동사 사전』3-7, 운동·단체편(1-5) (200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