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 3부 통합 운동에 반대하여 김좌진(金佐鎭) 등이 결성한 한족 총연합회가 내부 갈등으로 1930년 1월 김좌진이 암살되는 등 내분에 휩싸였다. 이에 해림(海林)·산시(山市)·석하(石河)·홍전자(紅甸子)·고령자(高嶺子)·밀강(密江)의 대표는 한족 총연합회를 탈퇴하여 1930년 4월 영안현(寧安縣) 산시참(山市站)에서 한족 농무 연합회를 결성하였다. 간부로는 신응권(申應權)·박래춘(朴來春)·신근원(申槿園)·윤일산(尹一山)·김광렬(金光烈)·김시평(金時平) 등이 선출되었으나 1931년 1월 해체되었다.
현황
한족 농무 연합회의 강령은 한족 총연합회의 3개 강령 중 “본회는 민족의 생활 안정을 도모함과 아울러 혁명적 훈련의 철저를 기한다”라는 조항만 살려 두었다. 조직은 무정부주의적 조직 형태에서 탈피 하고자 ‘자유 연합제’를 ‘중앙 집권제’로 고쳤다. 기타 규약은 대체로 한족 총연합회의 것을 답습하였다.
한족 농무 연합회는 비합법 조직으로 한족 동맹회를 조직하였는데, 그 산하 부서인 군사부에 ‘한(韓) 테러단’이라는 무장 부대를 두고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