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磐石 抗日 遊擊隊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길림시 반석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항일 유격대 |
|---|---|
| 설립자 |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산하 반석현 위원회 |
| 설립 시기/일시 | 1932년 6월 4일 |
| 개칭 시기/일시 | 1932년 12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31년 10월 |
| 최초 설립지 | 중국 길림성 반석현 |
1932년 6월에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盤石縣)에서 조직된 항일 유격대.
반석 항일 유격대는 설립 직후 포고문을 발표하여 의용군의 성격과 목적, 전투 임무 등을 천명하였다. 이에 따르면, 친일파의 숙청과 민중 보호, 강도 일본 구축과 실지(失地) 회복 등이 주요 목표였다.
1931년 10월 이홍광(李紅光)이 길림성 이통현(伊通縣)에서 결성한 개잡이대[타구대(打狗隊), 적위대(赤衛隊)라고도 함]가 그 모체였다. 1932년 6월 4일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산하 반석현 위원회 주도로 조직되었으며, 대원의 대다수가 조선인 청년이었다.
정식 명칭은 반석 공농 반일 의용군(磐石工農反日義勇軍)이었으며, 대외적으로는 ‘만주 공농 반일 의용군 제1군 제4종대’라는 명칭으로 선전되었다.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방침에 따라 1932년 12월 ‘중국 공농 홍군(中國工農紅軍) 제32군 남만 유격대’로 개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