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석 항일 유격대

한자 磐石 抗日 遊擊隊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길림시 반석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항일 유격대
설립자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산하 반석현 위원회
설립 시기/일시 1932년 6월 4일
개칭 시기/일시 1932년 12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1년 10월
최초 설립지 중국 길림성 반석현
정의

1932년 6월에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盤石縣)에서 조직된 항일 유격대.

설립 목적

반석 항일 유격대는 설립 직후 포고문을 발표하여 의용군의 성격과 목적, 전투 임무 등을 천명하였다. 이에 따르면, 친일파의 숙청과 민중 보호, 강도 일본 구축과 실지(失地) 회복 등이 주요 목표였다.

변천

1931년 10월 이홍광(李紅光)이 길림성 이통현(伊通縣)에서 결성한 개잡이대[타구대(打狗隊), 적위대(赤衛隊)라고도 함]가 그 모체였다. 1932년 6월 4일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산하 반석현 위원회 주도로 조직되었으며, 대원의 대다수가 조선인 청년이었다.

정식 명칭은 반석 공농 반일 의용군(磐石工農反日義勇軍)이었으며, 대외적으로는 ‘만주 공농 반일 의용군 제1군 제4종대’라는 명칭으로 선전되었다.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방침에 따라 1932년 12월 ‘중국 공농 홍군(中國工農紅軍) 제32군 남만 유격대’로 개편되었다.

현황

창설 당시 3개 분대로 편제되었으며, 이홍광은 제2분대 정치 위원을 맡았다. 반석현·이통현 등 남만 지방에서 일제 군경과 ‘만주국’ 관헌, 매판적 지주 계급과 일제 앞잡이 등을 대상으로 활발한 반제·반봉건 투쟁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1932년 10월에는 대원이 120여 명으로 늘어나 4개 대대로 편제가 개편되었다. 이때부터 이홍광이 참모장을 맡았다.

의의와 평가

반석 항일 유격대는 만주사변 이후 최초로 결성된 유격대였다. 1930년대 초 반석 항일 유격대를 시초로 한 만주 각지의 유격대 창설은 1930년대 중국 동북 지역 항일 무장 투쟁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참고문헌
  • 현룡순 외, 『조선족 백년 사화』2(거름, 1989)
  • 신주백, 『만주 지역 한인의 민족 운동사(1924~45)』(아세아 문화사, 1999)
  • 독립 기념관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소, 『한국 독립운동사 사전』독립 기념관, 2004
  • 장세윤, 『중국 동북 지역 민족 운동과 한국 현대사』(명지사, 2005)
  • 한석정·노기식,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소명 출판, 2008)
  • 김창국, 『남만 인민 항일 투쟁사』(연변인민출판사, 1986)
  • 황용국, 『조선족 혁명 투쟁사』(요령민족출판사, 198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