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항일 유격대

한자 東北 抗日 遊擊隊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항일 유격대
설립자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
설립 시기/일시 1933년 1월
최초 설립지 길림성 반석현
정의

동북 인민 혁명군동북 항일 연군을 통칭하여 부르던 부대 명칭.

개설

1931년 9월 18일 만주 사변이 일어나자, 상해에서 항일 대집회를 열었고, 중국 공산당 중앙 위원회는 10월 12일 만주성 위원회에 항일 유격대의 창설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1932년 봄에 이르러 만주 각지에서 우후죽순 격으로 유격대가 창설되었다.

그러나 1932년 6월 중국 공산당 중앙 위원회는 북방 각 성위원회 대표들이 참석하는 북방 회의를 소집하여 전 중국에서의 토지 혁명 추진, 소비에트 정부 수립, 홍군의 건설 등 중국의 공산 혁명을 확대하는 방침을 결정하였다. 공산 혁명의 확대 추진으로 오히려 우선 급한 항일 투쟁을 위한 역량이 위축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되자, 1933년 1월 당 중앙이 만주성 위원회에 보내는 1월 서한으로 일단 공산 혁명 활동을 철회하였다. 1월 서한의 핵심은 항일 통일 전선의 실행과 다른 항일 부대와의 공동 전선 형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만주성 위원회는 남만 및 동만 유격구에서는 종래의 유격대를 기초로 하여 동북 인민 혁명군 제1군에서 6군까지를 조직했고, 그 밖의 유격구에서는 인민 혁명군의 보충대 내지 맹아로서의 반일 유격대를 조직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던 동만에서는 연길·화룡·왕청·훈춘 등 각 현에 조직되어 있던 유격대를 통합하여 동북 인민 혁명군 제2군 제1독립사를 결성하고 사부(師部)를 발족시켰는데, 사장(師長)에는 조선인 주진(朱鎭)이, 정치 위원에는 중국인 왕더타이[王德泰]가 취임했다.

제2군 제1독립사가 독립사로 되면서, 이 부대는 위의 4개 현의 유격대가 개편되어 1단·2단·3단·4단과 독립단을 포괄하게 되었다. 동북 항일 유격대는 동북 지역의 다민족 연합부대로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조직된 군대였으나, 사실상 절대 다수가 한국인이었기 때문에 한국인 부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참고문헌
  • 김철수, 『연변 항일 사적지 연구』(연변인민출판사, 2002)
  • 최성춘 주필, 『연변 인민 항일 투쟁사』(연변인민출판사, 200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