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第366 講習所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천도교 사회 교육 기관 |
|---|---|
| 설립자 | 천도교 |
| 설립 시기/일시 | 1910년대 |
| 최초 설립지 | 국자가 광제촌 |
천도교에서 설립한 조선인 사회 교육 기관.
제366 강습소는 북간도 용정·연길·화룡의 천도교 교구가 합동으로 설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주요 활동 인물들은 당시 청년 단체의 활동 요원으로 요직을 맡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 그들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사람의 불행의 전부는 무지와 빈궁이란 말도 있거니와 이 무지를 타파하지 않고는 모든 무엇을 더불어 논의할 길이 없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그러면서 “민중을 무지의 구렁에서 제도(濟度)”시키기 위한 교육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던 것이다. 당시 천도교 강습소의 교육 대상은 통상 청년들이었으나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는 사회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