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여고

한자 光明 女高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여자 고등 학교
설립자 히다카 헤이지로
인가 시기/일시 1922년 5월
개교 시기/일시 1925년 4월
개칭 시기/일시 1938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최초 설립지 북간도 용정
정의

1925년 4월 북간도 용정에 설립되었던 광명 여학교 고등과를 독립시켜 설립한 조선인 고등 여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광명 여고는 여학생들에게 고등 교육을 시킴으로써 실질적인 교사를 배양하고자 함을 목표로 하였다.

변천

광명 여고는 1922년 5월 1일 설립된 광명 여학교의 전신이다. 1925년 광명 여학교의 고등과가 여학교에서 독립되면서 광명 고등 여학교로 되었다. 당시 학교장은 히다카 헤이지로(日高丙子郞)였고 학교의 수업 연한은 4년이었다.

1927년 당시 광명 여고는 학급 수 3개, 조선인 교원 2명, 학생 78명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30년에는 학생 180명에, 교사 15명이 되었는데 교사들 중에는 조선인 교사 6명, 중국인 교사 1명, 일본인 교사 5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1935년 광명 여고는 일본 외무성과 문부성의 해외 지정 학교로 되었는데 4년제로 4개 학급을 두었으며 매주 수업 시간은 34시간이었다.

교육 활동

광명 여고의 교과서는 모두 일본 문부성에서 심사를 거친 교재여야만 했다. 광명 여고는 당시 광명 학원에 소속되어 있었던 만큼 전반적인 운영은 일제의 지배를 받아야만 했다. 당시 히다카 헤이지로는 문화 침략 전략을 목적으로 활동하였기 때문에 겉모습은 매우 우호적이고 일시동인(一視同仁)의 정책을 펼치는 것처럼 보였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나 주변인들의 저항이 그리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 행위가 점차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되면서 광명 여고의 성격도 변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학교지』연변교육출판사, 1998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 민족 교육 사료집1』(연변교육출판사, 2002)
  • 김경식,『재중 한민족 교육 전개사』상(문음사, 2004)
  • 박금해, 『동북 조선족에 대한 일본의 식민 주의 교육 정책』(연변대학출판사, 2008)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