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신 여자 중학교

한자 明信 女子 中學校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개신교 계통 여학교
설립자 캐나다 선교사 바커의 부인 레베카 바커
개교 시기/일시 1913년 6월 4일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0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1년 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6년 9월
최초 설립지 북간도 용정현
정의

1913년 캐나다 선교사 바커의 부인 레베카가 북간도 용정현에 세운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명신 여자 중학교의 목적은 선교를 목적으로 여자 아이들에게 중등 교육의 높은 단계의 교육을 시킴으로써 선교의 질과 양을 확대하고자 함이다.

변천

명신 여자 중학교는 1913년 정식 설립되었다. 북간도 용정의 동산 영국 조계지에 예수교 장로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전신은 1910년 천주교에서 처음으로 설립한 상정(上貞) 여학교였다. 당시 캐나다 선교사 바커의 부인인 레베카 바커가 상정 여학교를 확대하여 1913년 6월 4일에 명신 여자 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그 후 1920년 6월 영국 선교사 게투루드 챠스아가 명신 여학교를 중학교로 승격시키면서 학교는 한층 높은 차원으로 되었다. 1941년 봄 영국령 캐나다인들이 귀국한 후 명신 여자 중학교는 용정 광명 고등 여학교와 통합되어 용정 여자 국민 고등학교로 되었고, 일본인 하라다문노(原田文吾)가 교장으로 취임하면서 완전히 일제의 노예화 교육 장소로 전락하였다.

광복 후 1945년 9월 박호연(朴昊淵) 교장이 부임하면서 명신 여자 중학교로 이름을 회복하였다. 하지만 1년 후인 1946년 9월 16일에 용정의 다른 5개소의 중학교와 연합하여 길림성 성립 용정 중학교로 되었다.

교육 활동

명신 여자 중학교는 주로 여자 아이들에게 중등 교육을 시키기 위한 것이다. 설립 초기 교원 12명에 학생이 158명이었다. 명신 여자 중학교는 총 21회에 걸쳐 255명의 졸업생을 양성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귀하고도 장하도다 우리의 명신학교

하나님의 경륜으로 반석위에 세웠네

산닳고 강마르기까지 노래하세 일심을 다해

억천만년 무궁토록 명신 명신학교 만세

2. 경천애민 목적삼아 붉은맘 변치 말고

무실역행하고 하면 두려울 것 없겠네.

산닳고 강마르기까지 노래하세 일심을 다해

억천만년 무궁토록 명신 명신학교만세.

3. 캄캄하다 이 세상에 미로에 가는 동포

권할사 봉사할사 우리의 정신일세

산닳고 강마르기까지 노래하세 일심을 다해

억천만년 무궁토록 명신 명신학교만세.

현황

명신 여자 중학교를 비롯하여 용정 중학교에 통합된 다섯 학교들의 통합 비석이 현재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용정 중학교의 마당에 있는 대성 중학교 옛터 앞에 있다. 현재도 용정 중학교는 여섯 중학교를 본교의 전신으로 소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 『중국조선족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김택, 『길림 조선족』(연변인민출판사, 1995)
  • 북경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출판사, 1997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허청선·강영덕, 『중국조선민족교육사료집1』(연변교육출판사, 2002)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조선족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