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중학교

한자 光明 中學校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1925년부터 히다까가 운영
개교 시기/일시 1921년 5월
개칭 시기/일시 192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4년
최초 설립지 북간도 연길현 용정
정의

1910년대 북간도 용정에 설립되었던 조선인 중학교.

변천

광명 중학교의 전신은 1921년 5월 설립된 영신 중학교이다. 1925년 4월 1일부터 일본인 히다까가 운영하게 되면서 광명 중학교로 개칭되었다. 1925년 8월부터 전적으로 조선 총독부의 교과서를 채용하였다.

광명 중학교 교사는 10명이고 학생은 136명이었다. 1930년까지 5년간 학교 인계 문제, 학우회 개조 사건, 운동회 참가 문제, 조선광주 학생 반일 사건 문제, 조선인 교사 배척 사건 등에 동맹 휴학이 단행되었다.

1934년 11월 히다카[日高丙子郞]는 광명회를 재단법인 단체로 만들어 재단 법인 광명 학원이라 칭하고 스스로 이사장직을 맡은 뒤 자기의 관할 하에 있는 학교들을 학원에 귀속시켰다. 광명 중학교도 이때 광명 학원 중학부로 되었다. 1935년 1월부터는 일본 외무성과 문부성의 해외 지정 학교로 되었다.

1937년 11월 30일 만주에도 일제 통치권이 미치게 되면서 광명 학원 중학부는 만주국 정부의 지정 공립 학교로 되었다. 1938년 1월에는 학교 관할권이 간도성 정부에 귀속되어 4년제의 간도성립 국민 고등학교로 되었다. 1941년 12월 19회 졸업생을 내보내고서 폐교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영신 중학교가 회복되었다.

교육 활동

광명 중학교는 일제에 의해 식민 교육이 이뤄졌지만 전신인 영신 중학교 학생들이 진보적이고 반일적 성향을 지녔기 때문에 학생들 대부분은 반일 의식이 강했다. 1930년 1월 23일 용정 각 학교 학생들이 광주 학생 운동의 반일 투쟁을 성원하여 반일 시위 행진을 전개하고 여러 차례 동맹 휴학을 단행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중국 조선족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 출판사, 1997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교지』연변교육출판사, 1998
  • 허청선·강영덕, 『중국조선민족교육사료집1』(연변교육출판사, 2002)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 조선족 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