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 학원

한자 大倧 學院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계서시 밀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대종교 학교
설립자 나철
개교 시기/일시 1928년
폐교 시기/일시 1934년
최초 설립지 밀산현 당벽진
정의

1928년 대종교 교도들이 밀산현 당백진에 설립한 대종교 계통의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대종 학원대종교의 교리를 선전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자제를 교육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대종 학원대종교가 밀산현 당백진에 세운 학교이다. 대종교는 1909년 1월 15일 나철이 단군교를 부활시키면서 개칭하여 창립한 것이다. 1914년 대종교 본사를 북간도 화룡현 용성향 청호촌에 옮겼지만 경신년 대토벌 직전 다시 밀산현 당벽진으로 옮겼다.

1921년 초 대종교는 당벽진에 개량 서숙을 설립, 운영하였다. 하지만 1922년 본사를 또 영안현 남관으로 옮기면서 개량 서숙은 문을 닫았다. 1928년 본사를 재차 당벽진에 옮겨서야 비로소 대종교라고 이름한 대종 학원이 설립되었다. 대종 학원은 1934년 봄에 본사가 당벽진으로부터 영안현 동경성 발해진으로 옮겨오면서 교주인 윤세복이 떠나갔기에 문을 닫게 되었다.

교육 활동

대종 학원은 초가집을 교실로 삼고 학생 40여 명을 모집하여 공부를 시키기 시작하였다. 대종교 제3세 교주 윤세복가 교장이자 교원이었다. 교과목으로는 한글·시사·역사·산수·체육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학제는 4년이었고 40여 명 학생을 4개 학년으로 나누어 2부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개 학년이 한 교실에서 공부하였기에 총명한 학생들은 상급반의 공부도 함께 하여 학년을 뛰어넘는 경우도 있었다.

대종 학원은 월사금을 받지 않았고 학교 운영 경비를 자체로 해결하기 위해 힘썼다. 일구던 땅에서 학전(學田)을 받는가 하면 40여 통의 양봉을 치기도 했으며 과수도 재배하였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나라의 독립을 위한 후계자 양성 사업에 정력을 쏟은 윤세복은 손수 교가를 지어 가르치기도 했다.

교가

교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등뒤에는 400장 되는 봉밀산

앞에는 두리가 800리인 픙개호

이 마당에서

뛰노는 배달소년들

억천만년 무궁하리 우리."

참고문헌
  • 『중국조선족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 김택, 『길림 조선족』(연변인민출판사, 1995)
  • 북경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교육사』민족출판사, 1997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허청선·강영덕, 『중국조선민족교육사료집1』(연변교육출판사, 2002)
  • 김경식,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 상(문음사, 2004)
  • 허청선·강영덕, 『중국조선족교육사』(연변교육출판사,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