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

한자 撫順市 朝鮮族 第1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요령성 무순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중학교
전화 0413-57672886
홈페이지 www.FSCYZ.com
개교 시기/일시 1950년3월
개칭 시기/일시 1977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6년 졸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2년 졸업
최초 설립지 요령성 무순시 신무구 해방가
현 소재지 요령성 무순시 성구 신화2로15호
정의

요령성 무순시에 있는 조선족 완전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훈(校訓)은 분투(奮鬪), 엄명(嚴明), 화해(和諧), 활약(活躍)이다. 교풍(校風)은 ‘빈틈없이 경고하다(嚴謹扎實), 일 하는 것이 견실하다(腳踏實地), 있는 그대로의 사실에 토대하여 진리를 탐구하다(實事求是), 실질적으로 진리를 탐구하다(務實求眞)’ 이다.

교풍(敎風)은 ‘성심 성의로 일치 단결하다(精誠團結), 창조적으로 끊임없이 개선하다(創新求精), 가르쳐 인재를 양성하다(敎書育人), 성실하게 진리를 탐구하다(誠實求眞)’ 이다. 학풍(學風)은 ‘학업으로 영광을 삼는다(以學為榮), 배움에는 특징이 있다(學有特長), 전반적으로 발전하다(全面發展), 배움이 진실 된 사람을 만든다(學做眞人)’ 이다.

변천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는 1950년 3월에 설립되고 초기 교명은 무순시립 조선(인) 중학교, 교장은 김의선이었다. 1954년 11월에 교지를 신무구 해방로로 부터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1955년에는 고중부를 심양시 조선족 중학에 합병시켰다가 1957년에 다시 회복하였다. 1977년에 현재 교명으로 고쳤다. 본교는 1962년에 성(省) 중점 중학으로 비준되고 1985년에 독립 고중으로 발전하였다. 1993년 8월 본교에 시(市) 조선족 직업 고중을 설치하였다. 2006년 10월에는 무순시 조선족 1중과 조선족 2중이 합병되어 초중부와 고중부가 함께 있는 완전 중학이 되었다. 2007년 3월에는 조선족 3중도 합병되었다. 2010년 60주년 행사를 크게 거행하였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는 1989년 이래 전국 민족 교육 선진 단체, 시(市) 교수 사업 선진 단체, 화원식 학교 등 많은 영예를 받았으며 시(市) 중학교 남자 축구 시합에서 1등과 시(市) 고중 여자 축구와 배구 시합에서 여러 차례 1등을 하였다. 교원들 중에서, 수학, 물리, 생물 등 학과에서 4명의 특급 교원이 있고 각종 영예를 지닌 교원이 성(省)급 이상에 4명, 시(市)급에 11명이나 된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는 1991년에 서울삼육 고등학교와 자매 관계를 맺었고 저명한 미국 국적 조선인 박문법을 본교의 명예 교장으로 모셨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는 건교 이래 졸업생 초중 34회에 5,852명, 고중 28회에 3,580명을 배출하였다. 그중에서 미국, 일본 등 나라에서 박사 학위를 획득한 인원이 5명, 교수 및 고급 공정사 35명, 성(省)과 시(市)급의 우수 기업가 7명 등 많은 인재들이 배출했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의 역대 교장들로는 김의선, 남일, 예운해, 김창걸 등이 있다.

교육 활동

전교 670여 명의 학생들과 130여 명의 단합되고 실력이 탄탄한 교사대들로 이루어진 이 학교는 “학생의 종신 발전을 위해 튼튼한 기초를 닦아주며 학생, 학부모와 사회를 위해 교육 봉사를 제공한다”를 취지로 “규범화한 학교, 특색있는 학교로 꾸려가며 합격된 공민, 특징 있는 인재를 육성”함에 많은 기여를 해왔는 바, 일찍 국가 교육위원회, 국가 민족사무위원회로부터 ‘전국 민족 교육 선진 단체’, ‘요령성 시범성 보통 고중’, ‘요령성 덕육 사업 선진 단체’, ‘요령성 새과정 개혁 선진 단체’, ‘무순시 대학 입시 특수 공헌상’ 등의 영예들을 받았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에서는 덕육처와 공청단 지부의 주도하에 학생들의 사상 도덕 건설을 강화하고 뇌봉 정신을 고양하며 주인공 의식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초중 1학년, 고중 1학년 학생을 조직하여 무순 뇌봉 기념관을 참관하고 뇌봉 석상 앞에서 “뇌봉 정신은 나와 함께, 행동 정신 길이 길이 전해가자” 주제 활동을 진행한다.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에서는 해마다 3월이면 학교의 정례 행사로 초중 1학년과 고중 1학년급 학생들이 뇌봉 기념관을 참관하고 기념 활동을 거행하고 있다. 행사에서는 지난 학기 진행한 “행동으로 뇌봉을 본받고 행동을 따라 배우는 활동”에 대해 총화하고 우수 학생들을 표창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무순시 조선족 제1 중학교 교가는 김학송 작사, 박학림 작곡으로 만들어졌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절) 찬란한 아침 해를 머리에 이고 겨레의 기상처럼 높이 솟앗다

동무들아 달리자 세계를 향해 참된 사람 되기 위해 준비해가자

아 무순시 조선족 제일 중학교 나의 사랑 나의 모교 길이 빛나라

모교 위해 이 영광을 떨쳐 가리라

(2절) 혼하강 오랜 역사 자랑하면서 화원식 배움터 희망 넘친다

동무들아 달리자 미래를 향해 발걸음도 씩씩하게 준비해가자

아 무순시 조선족 제일 중학교 모교 위해 이 영광을 떨쳐 가리라

모교 위해 이 영광을 떨쳐 가리라

현황

전체 교원은 89명으로 대학 졸업자 77명(남 37명, 여 40명), 단과 대학 졸업자 4명(남 3명, 여 1명), 사범 대학 졸업자 2명(남 2명), 기타 6명(남 3명, 여 3명)이다. 사생 비례는 1:12이다.

전체 학생 수는 1122명 이고 총 학급 수는 22개 이다. 학년별로는 1학년 289명(남 133명, 여 156명), 2학년 328명(남 153명, 여 175명), 3학년 505명(남 212명, 여 293명)이다.

학교 건평은 26,572㎡, 운동장 평수는 14,831㎡이다. 학교 시설은 교실 칸수 22개, 보유 컴퓨터 수 135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 135대, TV 31대, 보유 도서는 조선어[한글] 도서 5000권, 한어[중국어] 도서 25000권이다.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학생 수는 남 83명, 여 90명이다.

자매 학교로는 한국진선 여자 동 고등학교, 한국대경 대학, 한국저동 고등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편 『중국 조선족 교육지』,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출판사, 1998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학교 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