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穆棱市 河西鄕 普興 小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흑룡강성 목단강시 목릉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소학교 |
|---|---|
| 전화 | 0453-3021254 |
| 개교 시기/일시 | 1933년 |
| 최초 설립지 | 흑룡강성 목단강시 목릉시 하서향 보흥촌 |
흑룡강성 목단강시 목릉시 하서향에 있었던 조선족 소학교.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는 1933년 마을이 커지면서 설립되었다. 이후 2000년대 후반에 폐교될 때까지, 학습은 물론 시골에 맞는 여러 노동 활동을 함께 진행하였고, 졸업생은 약 1,000여 명을 배출한 소학교였다.
보흥촌은 이전에 2, 30호의 농호밖에 없는 자연툰이었는데, 1933년에 집단 부락이 되면서 인근에 흩어져 있던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서 소학교가 세워지게 되었는데, 제1대 교장은 소지민이었다. 당시 180여 ㎡ 되는 교사(초가)를 지었는데, 1940년에 이르러 교정을 녹화하고 관리를 강화하였다. 1946년에 4년제로 고치고, 5, 6학년 학생들을 팔면통 화평 소학교에 보냈으며, 1954년에는 1, 2학년만 남기고 그 외는 모두 하서향의 학교에 다니게 하였다.
그 후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는 1958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교사를 현재의 규모로 확대하여 완전 소학교가 되었다. 1965년에는 학교가 점점 발전하여 100여 명의 학생이 있었다.
1980년에 학교에서는 근공검학(勤工儉學) 활동을 견지하기 위하여 목기 공장을 꾸렸고, 이 돈을 모아서 1987년에 각종 교수 설비를 갖추기 시작하여 1989년에는 성급 표준화 학교로 되었다. 그후 체육 기재, 컴퓨터 등 교수 설비들을 갖추고 또 160㎡의 사양장, 3부의 포도원, 100㎡의 온실, 20㎡의 노동 기술 실습실, 기상 관측소 등을 세웠다. 그 결과 목단강시‘두 가지 전면’ 학교로 평가되었고 1991년부터 6년간 연속 목단강시 교육 사업 선진 단체의 영예를 받았다.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의 전체 교원수는 8명이었으며, 대학 졸업자는 2명(여 2명), 단과 졸업자는 3명(남 1명, 여 2명), 사범 학교 졸업자는 3명(남 2명, 여 1명)이었다. 전체 학생 수는 18명이었고 총 학급 수는 3개였다. 학년 별로 3학년 1명(남 1명), 4학년 3명(남 1명, 여 2명), 5학년 8명(남 3명, 여 5명), 6학년 6명(남 3명, 여 3명)이었다. 학교 건평은 1,000㎡ 으로 교실 칸수는 6칸, 보유 컴퓨터 수는 4대였다. 운동장 평수는 15,000㎡이었고, 도서 총수는 800권으로 조문[한글] 도서는 300권, 한어[중국어] 도서는 500권이었다. 학생들 중 한부모 가정에 속한 학생은 9명, 부모가 없는 가정에 속한 학생은 2명이었다.
2004년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로 개칭하였으,나 2000년대 후반 학생 수의 감소로 폐교되었다.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는 서클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여, 작문, 서화, 소제작, 축구, 배구, 요리, 위생원, 영어, 컴퓨터, 벼 재배, 포도 재배 등 18개 서클을 운영하면서 정기적으로 각종 경연 활동을 진행하였다. 1992년부터 1994년 사이 학교의 각 서클에서는 120편의 작문들이 각종 간행물에 발표되었고, 학교는 연속 3년‘시 작문 보도 선진 단체’로 선정되었다. 축구와 배구는 전국 시(市) 시합에서 각각 3등과 4등을 하였고, 무용과 악기는 시(市) 문예 공연에서 연속 2년간 우수 대표팀으로 선발되었다.
목릉시 하서향 보흥 소학교 학생들은 정기적으로 농업 과학 교육 결합 실험에 참가하였다. 전국 농민 육종가 박삼덕, 교육 위원회 부주임 김영윤, 현 축목국 고급 축목사 의사 김광석 등 유명한 분들이 초청되어 벼 재배 기술, 포도 재배 기술, 가축 사양 전문 기술 등을 강의하여 학생들의 지식을 넓혀주었다. 6학년 학생들의 벼 재배 전업과, 5학년 학생들의 포도 재배 전업과, 4학년 학생들의 가축 사양 전업과는 모두 학교 계획에 따라 활발히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이러한 전업과 학습, 실험을 통하여 과학을 학습하며 노동을 사랑하는 습관을 키울 수 있었다. 학교에서 감초 등 약재 재배, 수전 양어, 봄철 온실 남새 심기와 남새모 키우기, 식용균 배육, 돼지 우량 품종 번식 이외에도 콩 우량 품종들을 재배하여 경제적 효과를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