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

한자 東寧縣 三岔口朝鮮族鎭 中心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흑룡강성 목단강시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소학교
전화 0453-3731225
개교 시기/일시 1947년
개칭 시기/일시 1952년
개칭 시기/일시 1956년
개칭 시기/일시 1984년
최초 설립지 흑룡강성 목단강시 동녕현 삼차구진 삼차구
현 소재지 흑룡강성 목단강시 동녕현 삼차구진 삼차구
정의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동녕현(東寧縣) 삼차구진(三岔口鎭) 삼차구(三岔口)에 있는 조선족 소학교.

개설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1947년 10월 한인들이 합심하여 세운 학교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뒤, 중국 정부의 주도로 교명이 제3 국민 완전 소학교로 바뀌었다.

이후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60여 년 동안 4,000여 명의 학생이 졸업하였고, 유명한 애국 지사, 혁명가, 과학자, 기업가, 정치인, 문화인 등 수많은 인재들을 배출하였다.

교육 목표(교훈 포함)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모든 것은 학생을 위해, 모든 학생의 발전을 위해”라는 교육 이념 하에 교원들은 업무를 수행하며, 성(省), 시(市), 현(縣)에서 주최한 교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수많은 상을 받았다. 교육 목표는 “기초를 다지고, 특색을 창조하며, 일류를 쟁취하는 학교가 되자”이다.

변천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1947년 동녕으로 이주해 온 한인들에 의하여 설립되었고, 1949년 공립으로 발전하였다. 초기 교명은 동녕현 제3 국민 완전 소학교였고, 제1대 교장은 박명호였다. 당시 학생은 794명이었다. 1950년 중국 정부의 투자로 전 현(縣)에서 가장 좋은 2층 교사를 준공하였다.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1952년에 교명을 동녕현 제4구 완전 소학교로, 1956년에는 동녕현 삼차구 소학교로 고쳤고, 1984년에는 동녕현 중심 소학교로 개칭하였다.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에는 12개 학급에 2개의 학전반이 있었다.

교육 활동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매년 교내 빙상 운동회를 개최하였다. 이 학교에서는 겨울철 운동 종목이 비교적 결핍한 현실을 고려하여 거의 해마다 스케이트장을 만들어 학생들의 겨울철 체육활동을 다채롭게 벌여왔다.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여러 차례 겨울철 운동 선진 단체로 선정되어 상급으로부터 표창, 인정을 받았다.

교가와 상징물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의 교가는 마송학 작사, 김철 작곡으로 만들어졌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절) 유유히 흐르는 수분 하강반 겨레의 노래소리 울린다

조국의 앞날을 꽃피워나갈 꽃봉오리 자라나는 곳

(2절) 은혜론 해빛아래 우리 배움터 겨레의 글소리 울린다

선배들의 전통을 높이 받들고 슬기를 키워가는 곳

(후렴) 아 아 랄라라 삼차구 중심 소학교

우리 학교 영예를 떨쳐나가자

현황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의 부지 면적은 15,000㎡이고, 건축 면적은 3,240㎡이며, 각종 실험실과 다기능 현대화 강의 시설들이 갖추어졌다. 학교에는 6개 학급, 3개 유치원과 200여 명 학생, 유아들과 18명 교원이 있는데 교원 모두가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졌다.

그 중 성(省)급 우수 교원 1명, 시(市)급 우수 교원 5명, 명 강의 교원, 교수 골간 교원 칭호를 수여받은 교원이 16명이다.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설립 이래, 중국 정부의 교육 방침에 따라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 52차례나 성(省), 시(市), 현(縣)의 선진단체로 선정되었고 1994년에는 시(市)급 선진 단체의 영예를 받았다.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는 지금까지 전국 제8기 축구 시합 2등, 전국 우수 미술 서법 촬영 작품 시합 단체 1등상, 시(市)급 유치원 문예 경연 우수 조직상, 과정 개혁 선진 단체상 등을 받았다.

최근까지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중심 소학교의 학생들은 성(省), 시(市)에서 개최한 소학교 작문, 수학, 문예, 체육 등의 시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1994년에 전국 조선족 수학 경연 1등과 전국 조선족 신동컵 수학 경연 1등을 수상하였고, 한국에서 주최한 올림픽 수학 경연에도 참가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편 『중국 조선족 교육지』,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출판사, 1998
  • 동북 조선 민족 교육 과학 연구소, 『중국 조선족 학교 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