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새벽 農民 大學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동성용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교 |
|---|---|
| 설립자 | 김시룡 |
| 전화 | 0433-3432511 |
| 홈페이지 | http://yanbian016354.11467.com |
| 인가 시기/일시 | 1958년 5월 |
| 개칭 시기/일시 | 1988년 3월 |
| 최초 설립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동성용진 |
| 현 소재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동성용진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동성용진에 있었던 한인 중심의 농민대학.
새벽 농민 대학은 학생들의 덕, 지, 체 전면 발전의 교육방침과 학생들의 종합 소양 제고를 강조하였다.
새벽 농민 대학은 1958년 5월에 설립되었다. 당시 학교명은 연길현 동성인민공사 새벽 업외(業外) 농민대학이었다. 당시 국무원 부총리 제의에 의해 김시룡이 세운 전국 첫 번째 농민대학이었다. 1964년 9월 연길현 동성인민공사 새벽 반농반독(半農半讀)대학으로, 1974년 11월 다시 연길현 새벽 5.7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80년 12월 연길현 새벽 농민대학으로 개칭되었고, 1988년 3월 국가교육부의 인가를 받아 연변 새벽 농민 대학으로 명명되었다. 1989년에는 연변 새벽 농민대학 부속직업 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97년 3월 길림성 대외유치 건설회사와 제휴하여 출국 노무 인력 양성 센터를 설립하고 출국 노무 인력을 위해 기술과 언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새벽 농민 대학은 1998년 당시 학교장에 김철훈이었고 학생 425명에, 교직원 46명이었다. 현재는 폐교되었다.
새벽 농민 대학에는 전통적인 학과 외에도 특산, 영어, 농촌회계, 전산 등 학과가 있었는데 각각 한 학급씩 있었다. 연변 새벽 농민대학에서는 대학, 직업고등학교, 단기 연수 센터 등 다차원, 다형식의 학교를 운영함으로써 보급 및 홍보효과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는 과수원, 밭, 논 등 실습 및 생산기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새벽 농민 대학은 과학 연구사업과 교육 흥농(興農) 사업에서도 모범을 보였다. 이 대학에서 연구한 '벼 간이비닐 육모법'은 길림성 과학기술 진보상을 받았고, 중국 전역에 보급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개발한 우질미(優質米)는 중국농업부로부터 유기농 식품으로 평가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