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

한자 延吉市 小營鄉 民主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소영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초기 유지인사
인가 시기/일시 1907년
폐교 시기/일시 2000년대
개칭 시기/일시 1947년
최초 설립지 연길시 소영향 민주촌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소영향 민주촌에 있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는 활기차고 미덕을 갖춘 조선족 어린이를 양성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전면 발달한 어린이를 키우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의 전신은 1907년 오상긍, 이병휘. 남성우 등에 의해 연길현 와룡동에 설립한 창동의숙이다. 이는 이듬해인 1908년에 창동학교로 개칭하였고 1910년에 중학부를 설치하고 교명을 창동학원으로 개칭하였다. 이때 원장은 오상근이었고 교원 7명에 학생 100여 명에 달하였다.

1930년대에 일제가 창동학원을 빼앗으려 하자 학생들은 학교를 불태워버렸다. 1935년에 마을에 다시 새 교사를 짓고 창동학교를 회복하였다. 광복 후인 1946년에 창동학원을 상복소학교로 명명하였고 1947년에 민주 소학교로 개칭하였다.

교육 활동

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는 농촌학교이지만, 유구한 역사적 전통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발전을 매우 강조하였다. 이에 전국소년독서활동선진단체 등의 영예를 수여 받았다.

현황

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는 1998년 당시 학교장이 김영진이었고 학생 432명에 교직원 35명을 두었다. 학교 건축 면적은 2,624㎡이고, 도서 총수는 5,880권(한글 5,379권 한문 501권)이었다. 2000년대 이후 연변지역 조선족 농촌 중소학교의 통폐합 추세에 따라 연길시 소영향 민주 소학교는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중국조선족학교지』, (연변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 (연변교육출판사, 200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