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에 나선 최씨의 아내」

한자 抗日에 나선 崔氏의 아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항일 전설
주요등장인물 최씨|최씨의 아내|장지주|정갑이
모티프유형 최씨 부부의 도주|최씨 아내의 유격대 합류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7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4월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에서 한 여성이 남편의 원수를 갚고 유격대에 참여하게 된 내력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92년 7월 김태갑, 박창묵이 편찬하고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판한 『항일 전설 설화집』‘화룡현’편에 박창묵이 정리한 것이 수록되어 있다. 2006년 보고사에서 간행한 『향토 전설집』에 항일 전설과 관련하여 동일한 내용이 재수록 되었다.

내용

두만강변 옥돌골이라는 마을에 장노을이라는 지주와 그 아래에서 지팡살이[소작살이]를 하던 최 씨 부부가 있었다. 최 씨 부부는 두 어린 자식을 키워볼 생각으로 열심히 일했지만, 봄에 빚진 쌀을 가을에 갚기에 바빴다.

어느 날 최 씨는 풋잠[잠든 지 얼마 안 되어 깊이 들지 못한 잠]이 든 아내를 깨우며 ‘장지주 등살에 벗어나 살자.’고 말했다. 최 씨의 아내는 두말없이 남편의 말에 따라 두 아이를 데리고 문을 나섰다. 최 씨 부부는 산속을 달리며 옥돌골을 벗어나려 했지만, 그들은 장지주의 하수인인 정갑이란 놈에게 붙잡혔다. 정갑이는 평소 최 씨의 아내를 탐냈기에 붙잡은 최 씨를 기둥에 매놓고는 몽둥이로 때려 죽였다. 최 씨의 아내는 남편의 시신을 붙잡고 대성통곡을 하다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

최 씨의 아내가 정신이 들자, 누군가 그녀의 손목을 붙잡았다. 정갑이가 최 씨의 아내에게 자신과 함께 살자며 손목을 잡은 것이었다. 최 씨의 아내는 정갑이 얼굴에 침을 뱉고 그를 물어뜯었다. 그러자 정갑이는 최 씨의 아내가 장지주를 죽이려 했다는 누명을 씌우고 관청에 송사했다. 관청 역시 정갑이와 한패였기에 그녀는 죄 없이 연길 감옥에 갇혔다.

여덟 달 동안 옥살이를 마친 최 씨의 아내는 남편의 무덤을 찾아 시신을 수습했다. 그리고 그녀는 친척집에 맡겨둔 어린 애를 업고 옥돌골로 향했다. 그 길에서 최 씨의 아내는 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정갑이와 마주했다. 최 씨의 아내를 본 정갑이는 기겁해서 줄행랑은 쳤고, 그녀는 원수를 갚겠다는 일념으로 뒤를 쫓았다. 그러나 그녀가 아이를 업고 있기에 정갑이를 잡을 수가 없었다. 그러자 최 씨의 아내는 아이를 내려놓고 정갑이를 뒤쫓았다. 최 씨의 아내는 정갑이를 잡을 뻔 했지만, 집안으로 도망간 정갑이를 잡지 못했다. 그녀는 문 앞에서 울부짖으며 분을 삼켰다.

그때 불현듯 그녀는 길에 내버려둔 아이가 떠올랐다. 그녀가 아이에게 돌아갔을 때, 아이는 눈 속에 파묻힌 채 죽어있었다. 남편의 원수도 갚지 못하고, 아이까지 잃은 최 씨의 아내는 그 자리에서 쓰러졌다. 최 씨의 아내가 정신이 들었을 때, 그녀는 경찰에게 붙잡혀 징역살이를 했다. 이번에도 정갑이에 의해 최 씨의 아내가 살인을 하려 했다고 누명을 씌운 것이었다.

출옥한 최 씨의 아내는 친척집에 가니, 그곳에는 먼 친척 되는 어른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어른은 그녀에게 원수를 갚으려면 혼자 힘으로 힘드니 유격대 참여를 권유하며 권총 한 자루를 주었다. 최 씨의 아내는 권총을 갖고 옥돌골을 찾아 갔다. 그녀는 장지주와 정갑이가 술판을 벌이던 날, 술판에 뛰어들어 그 둘을 쏘아 죽였다.

원수를 갚은 최 씨의 아내는 그 길로 권총을 차고 백두산 밀림 속으로 유격대를 찾아 떠났다. 이때부터 항일대오 속에는 총칼을 들고 남성들과 같이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며 일본군과 용감히 싸우는 여전사가 있었는데, 그녀를 옥돌골 ‘최 씨의 아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항일에 나선 최씨의 아내」의 주요 모티프는 ‘최 씨 부부의 도주’, ‘장지주와 정갑이의 횡포’, ‘최 씨 아내의 복수’, ‘최 씨 아내의 유격대 합류’ 등이다. 최 씨 부부는 장지주의 횡포를 피해 도망을 가지만 결국 붙잡힌다. 이 과정에서 정갑이의 만행으로 최 씨는 죽고 최 씨의 아내는 감옥에 갇힌다. 출옥한 최 씨의 아내는 정갑이를 죽이려 했지만, 어린 아이를 잃고 또 감옥에 갇힌다. 마지막에 최 씨의 아내는 먼 친척의 도움으로 장지주와 정갑이를 죽이고 유격대에 합류한다.

요컨대 이 이야기는 일제 치하에서 일본뿐만 아니라 그 밑에서 기생하는 지주와 그 앞잡이 등의 만행을 기록하면서, 동시에 한 여성이 가족을 잃고 유격대에 합류하게 되는 계기를 말하고 있다.

참고문헌
  • 장덕순 외, 『구비 문학 개설』(일조각, 2006)
  • 김태갑·박창묵 편, 『항일 전설 설화집』(연변인민출판사, 199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편 『향토 전설집』(보고사, 2006)
  • 하미경,「중국 조선족 항일 설화 연구」(『국어 국문학』 34, 부산 대학교, 1997)
  • 허경진·김창화,「조선족 항일 투쟁 관련에서 생성된 설화에 대하여」(『영주 어문』 23, 영주 어문 학회,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