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崔巡査의 이야기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항일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최순사|청년|강진백 |
| 모티프유형 | 최순사가 조선인을 도와준 일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2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4월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에서 최 순사가 조선인을 도와준 일화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1930년대 후반 화룡현이도구 경찰서에 ‘최 순사’라는 조선인 경찰이 있었다. 이도구 경찰서에는 12명의 경찰이 있었는데, 그 중 3명은 일본인이었다. 이곳 경찰들은 짬만 나면 강진백이라는 조선인이 차린 국수집에 가서 마시고 놀았다. 강진백은 일본인과 경찰의 비위를 잘 맞추는 약삭빠른 작자였다.
단오를 앞둔 어느 날이었다. 강진백은 점심때가 되자 지나가는 경찰 몇을 불러 소갈비 안주에다 일주[일본술]를 먹이고 있었다. 이때 청년 농민 하나가 메밀 세말을 이고서 국수집에 들어와 국수 세 사발을 청했다. 청년은 배가 고팠는지 금세 국수 세 사발을 먹었다.
이윽고 청년은 주인에게 가더니 국수 값 대신 메밀 세말을 받아주기를 청했다. 강진백은 메밀 대신 돈을 내라며 우기자 청년은 돈이 없다며 메밀을 받아주길 간청했다. 그러자 강진백은 청년의 뺨을 냅다 쳤다. 별실에 있던 최 순사는 이 광경을 보자 문을 발칵 열고 나왔다. 최 순사는 강진백의 멱살을 쥐고 조선인이 되어 조선인을 업신여긴다며 강진백의 뺨을 후려 갈겼다. 이어 최 순사는 청년의 국수 값을 대신 내줬다.
이 일이 있은 얼마 뒤, 최 순사는 다른 순사와 함께 국수집에서 국수를 먹고 있었다. 곁의 순사가 최 순사를 슬쩍 치며 국수를 먹고 있던 조선인이 유격대인 것 같다며 붙잡자고 제안했다. 조선인은 눈치를 챘는지 국수집 바로 뒤에 있는 강물에 뛰어들었다. 동료 순사가 최 순사에게 총을 쏘라고 말했지만, 최 순사는 총을 꺼냈지만 시간을 끌며 총을 쏘지 않았다. 최 순사가 총을 겨누고 쏘려고 했을 때는 조선인은 도망가고 난 뒤였다. 이후, 최 순사는 일본인 몇 명을 쏘아죽이고 분연히 항일군에 가담했다.
「최순사의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강진백의 횡포에 대한 징치’, ‘조선인 유격대의 구원’ 등이다. 최 순사는 순사였지만, 조선인을 괴롭히는 순사가 아니었다. 오히려 조선인을 괴롭히는 강진백을 징벌하고, 위험에 빠진 조선인 유격대를 구원한 인물이다.「최순사의 이야기」를 통해 항일 유격대뿐만 아니라 최 순사와 같은 조선인을 도와주는 여러 유형의 인물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