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새매가 생겨난 由來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요령성 심양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민담|새매 기원담|악인 징치담 |
|---|---|
| 주요등장인물 | 사냥꾼|임금 |
| 모티프유형 | 사냥꾼의 날개옷 획득|새매가 된 임금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1년 4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3년 |
| 채록지 | 중국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 |
요령성 심양시에서 ‘임금이 새매가 된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조선족 설화 학자 배영진(裵永鎭)이 1981년 한인[조선족]이 모여 사는 심양시 소가둔에 설화 채집을 갔을 때 한 친척으로부터 김덕순이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며 소개를 받았다. 이에 배영진은 김덕순(당시 81세)을 만나 며칠을 두고 채록을 하였다. 당시 구술된 자료 중 「새매가 생겨난 유래」는 1983년 발행된 『김덕순 고사집(金德順故事集)』(상해 문예 출판사)에 「老鷂子是咋來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991년 민속원에서 간행한 『조선족 구비 문학 총서(朝鮮族口碑文學叢書)』(21)에 전체 내용이 영인되었다. 2005년 보고사에서 발행한 『김덕순 민담집』에도 그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새매가 생겨난 유래」는 『김덕순 민담집』의 제목을 따른 것이다.
옛날 활을 잘 쏘는 젊은 사냥꾼이 있었다. 사냥꾼은 산속에서 걷다가 힘들 때면 자신도 새처럼 하늘을 날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이에 사냥꾼은 하늘을 나는 옷을 만들기 위해 새를 잡으면 껍질을 벗겼다. 이렇게 천 마리의 새를 잡고 껍질을 벗겨 단추 다섯 개가 있는 새가죽 조끼를 만들었다.
사냥꾼이 새가죽 조끼를 입고 첫 번째 단추를 끼우자 몸이 가벼워지다가 다섯 번째 단추를 채우니, 완전히 자유자재로 날 수 있었다. 단추를 모두 풀면 저절로 땅으로 내려왔다. 사냥꾼은 하늘을 나는 옷으로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여러 짐승들을 잡았다.
사냥꾼이 하늘을 난다는 소문은 임금에게까지 들렸다. 욕심이 많은 임금은 부하를 시켜 사냥꾼을 잡아들인 다음, 새가죽 조끼에 대해 물었다. 이에 사냥꾼은 임금의 속셈을 눈치 채고 하늘에 올라가는 법만 알려주고 내려오는 법을 알려주지 않기로 생각했다. 사냥꾼은 임금에게 새가죽 조끼를 입힌 다음 다섯 단추를 모두 채웠다. 임금은 기뻐하며 하늘을 날아다니다가 배가 고파 착지하려고 했지만 그 방법을 몰라 내려올 수 없었다.
이렇게 하늘에 머물게 된 임금은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새들을 잡아먹으며 살았다. 나중에는 입이 칼날처럼 뾰족하고 눈이 튀어나오고, 다리가 가느다란 새매로 변하고 말았다.
「새매가 생겨난 유래」의 모티프는 ‘사냥꾼의 새가죽 조끼 획득’과 ‘임금의 횡포’, ‘새매가 된 임금’ 등이다. 사냥꾼이 새가죽 조끼를 가지고 하늘을 나는 모습에서 이 이야기는 인간이 하늘을 나는 새로 둔갑했다는 변신담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임금이 결국 땅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새매로 변했다는 동물유래담이기도 하다. 한편 악인(惡人)이 날개옷을 빼앗고 새가되었다는 내용은 평안북도 강계에서 구연되는 무속 신화 「일월 놀이 푸념」에서 배선비가 솔개가 되는 모습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