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항일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여성 유격대원|만주군 병사들 |
| 모티프유형 | 식량 마차 탈취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2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4월 |
| 채록지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에서 여성 항일 유격대원이 만주군 식량 마차를 탈취한 내용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어느 날 한낮에 식량 마차 한 대가 용정을 떠나 비암산 고개를 넘어 평강벌을 달리고 있었다. 마차 위에는 만주군 두 명이 있었는데, 삼도구[오늘의 화룡] 주둔 부대의 군량을 실어가는 중이었다. 저만치 앞에서 두 여인이 함지박만한 보따리를 이고 길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었다.
마차를 모는 병사가 길을 비키라며 소리치자 여인들은 웃으며 조선말로 태워달라고 말했다. 곱상하게 생긴 여인들이라 병사들은 그녀들을 태우고 다시 달리기 시작했다. 마차 위에서 만주군 병사들은 조선 여인들에게 조선말, 중국말을 섞어 쓰며 희롱했다. 여인들은 병사들의 희롱에 응대하지 않고 자기들끼리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마차가 이도구를 벗어나 산길로 접어들었을 때, 한 여인이 소변을 본다며 마차를 세워 달라고 말했다. 병사들은 여인을 놀리며 마차를 세우고는 소변 소리가 나는 쪽을 멍하니 바라보았다. 바로 그때, 마차 위에 있던 여인이 보따리 속에서 조막 도끼를 꺼내들고 병졸의 머리를 내려쳤다. 그 소리에 남은 병사가 총을 꺼내자 소변을 보던 여인이 뒤에서 권총을 겨눴다.
두 여인은 죽은 병사의 시체를 숲속에 버리고 살아남은 병사는 포승으로 묶어 짐칸에 실었다. 그리고는 말머리를 돌려 와룡동쪽으로 달렸다. 그녀들은 어랑촌에 근거지를 둔 화룡현 유격대 대원이었다.
「빠이텐 커이」의 주요 모티프는 ‘여성 유격대원의 식량 마차 탈취’이다. 「빠이텐 커이」에서 여성 유격대원들은 자신의 정체를 속인 채 만주군 마차에 올라탄다. 만주군 병사들이 방심할 때, 여성 유격대원은 도끼와 권총을 가지고 그들을 제압한다. 곧, 「빠이텐 커이」는 여성 항일 유격대원의 용맹과 지략을 그린 영웅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