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과 선녀」

한자 牧童과 仙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요령성 심양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동물 보은담|이계담|신이담|유래담
주요등장인물 목동|선녀|사슴|천제
모티프유형 목동의 사슴 구원|목동의 날개옷 획득|선녀와 혼인 및 이별|천상에서의 재회|백두산 한인의 유래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1년 4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3년
채록지 요령성 심양시소가둔구
정의

요령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에서 백두산에 사는 한인들이 목동과 선녀가 낳은 자손이라고 전해지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중국 설화 학자 배영진(裵永鎭)이 1981년 한인[조선족]이 모여 사는 심양시 소가둔(小家屯)에 설화 채집을 갔을 때 한 친척으로부터 김덕순이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며 소개를 받았다. 이에 배영진은 김덕순[당시 81세]을 만나 며칠을 두고 채록을 하였다. 당시 구술된 자료 중 「목동과 선녀」는 1983년 발행된 『김덕순 고사집(金德順故事集)』[상해 문예 출판사]에 「牧童和仙女」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991년 민속원에서 간행한 『조선족 구비 문학 총서(朝鮮族口碑文學叢書)』(21)에 전체 내용이 영인 되었으며 2005년 보고사에서 발행한 『김덕순 민담집』에 그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목동과 선녀」는 『김덕순 민담집』의 제목을 따른 것이다.

내용

옛날 백두산 아래에 영준하고 착한 목동이 살았다. 어느 날 목동이 산속에 들어가 소와 양들이 풀을 뜯게 하고 자기는 바위에 걸터앉아 퉁소를 불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사냥꾼에게 쫓기던 새끼 사슴 한 마리가 달려와서 살려달라고 애원했다. 나무꾼은 퉁소를 내려놓고 사슴을 땔 나무단으로 감싼 뒤 계속 퉁소를 불었다. 사냥꾼이 도착하여 사슴을 보았는지 목동에게 물었지만, 목동은 시치미를 떼며 사냥꾼을 돌려보냈다.

무사히 살아난 새끼 사슴은 목동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며 그를 위해 백두산 천지에서 목욕을 하는 칠선녀에 대해 말해주었다. 목동이 칠선녀가 목욕을 하는 틈을 타서 날개옷을 감추면 선녀를 아내로 삼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들 셋을 낳을 때까지 선녀에게 날개옷을 주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에 목동은 새끼 사슴의 말을 믿고 백두산 천지를 찾아가 선녀를 기다렸다.

목동은 백두산 천지에서 퉁소를 불며 선녀를 기다렸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무지개가 드리우더니 칠선녀가 내려왔다. 나무꾼은 몸을 감추고 칠선녀의 옷을 모두 훔쳤다. 목욕을 마친 칠선녀는 환궁을 하려고 옷을 찾았지만, 옷은 보이지 않고 어디선가 퉁소 소리만 울렸다. 선녀들은 총각에게 가려고 했지만 발가벗은 몸이라 누구도 가지 못했다. 결국 막내가 목동에게 가서 선녀옷을 달라고 부탁을 하자 목동은 여섯 언니의 옷을 줄 테니 막내는 이곳에 남아 자신의 아내가 되어 달라고 말했다. 그리하여 막내만 지상에 남고 여섯 언니는 모두 천궁으로 돌아갔다.

목동은 일곱째 선녀를 집에 데려와 달콤한 결혼 생활을 했다. 부부는 결혼한 지 삼 년 석 달이 지나 아들 둘을 낳았다. 지상에서는 삼 년 석 달이었지만 천궁에서는 고작 석 달 열흘이 지났다. 여섯 언니는 막내가 목동과 결혼한 이래 계속 부모를 속여 왔지만, 결국 아버지인 천제의 생일날 들통이 났다. 천제는 막내딸이 사라진 것을 알고서 불호령을 내렸다.

지상의 선녀는 쾌청하던 하늘에 갑자기 벼락을 치는 것을 보고 아버지가 화를 내고 있다고 짐작했다. 당장 천궁에 올라가지 않으면 아버지는 천병(天兵)을 보내 남편에게 화가 미칠 것을 예감했다. 선녀는 목동을 안심시키며 날개옷을 달라고 간청했다. 목동은 선녀의 말을 듣고 날개옷을 꺼내주고 잠이 들었다.

선녀는 목동이 잠든 틈을 타서 두 아이를 안고 눈물을 흘리며 천궁으로 날아갔다. 아내와 아들을 잃어버린 목동은 원통하고 서러운 마음으로 새끼 사슴을 찾았다. 목동을 본 사슴은 천지에 내려오는 물통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면 가족을 만날 수 있다고 했다. 목동은 사슴의 말대로 천지에서 내려온 물통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목동은 하늘에서 선녀와 아들을 재회하여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천상의 모든 이들이 목동과 선녀의 재회를 기뻐했지만, 천제와 그의 세 아들은 그들의 재회를 싫어했다. 천제는 목동을 내쫓기 위해 ‘쥐 나라에 가서 사람 가죽 백장과 고환 세 말을 가져오라’는 난제(難題)를 내놓았다. 목동은 천제의 말을 듣고 쥐 나라로 향했지만 마땅한 방도가 없었다. 쥐 나라에 도착한 목동은 문지기 쥐에게 멱살을 잡힌 채 두려움에 떨며 쥐 나라의 왕 앞에 대령했다. 그런데 쥐 대왕이 목동을 보더니 어좌에서 내려와 “주인님, 절 몰라보십니까?”라고 말했다. 그 쥐 대왕은 목동이 선녀와 결혼하기 전에 목동의 집에서 함께 살던 유일한 동무였다.

쥐 대왕은 목동의 사정을 듣고, 쥐들을 시켜 목동에게 사람 가죽 백 장과 사람 고환 세 말을 내주었다. 목동은 이 물건들을 가지고 천궁으로 향했다. 목동이 절반 정도 도착할 즈음에 천궁의 세 아들이 칼을 휘두르며 목동이 받은 물건을 빼앗았다. 그 순간 일진광풍이 불더니 사람 가죽과 고환을 쓸어가 버리고 세 아들은 당황하여 그 뒤를 쫓았다.

목동은 망연자실하여 그 자리에 주저앉았는데 공중에서 종이 한 장이 떨어졌다. 그것은 바람을 일으켜 물건을 가져왔다는 아내가 쓴 편지였다. 편지를 본 목동은 웃으며 집으로 돌아와서 천제에게 약속한 물건을 바쳤다. 천제는 할 수 없이 부부가 인간 세상에 내려가는 것을 허락했다. 목동과 선녀는 아들을 하나씩 나눠 안고 백두산 천지로 내려왔다. 백두산에 내려오니 새끼 사슴은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목동 가족은 사슴의 등에 올라 집으로 돌아와 사슴과 함께 지냈다. 그때부터 사슴을 키우는 습관을 지녔으며, 백두산의 한인들이 목동과 선녀의 자손이라 전해진다.

모티프 분석

「목동과 선녀」는 여러 지역에서 널리 전해지는 설화로서 몽골과 시베리아의 「백조 처녀」, 중국의 고녀 전설(鴣女傳說), 일본에서는 우의 전설(羽衣傳說) 등 전 세계에서 널리 전승되는 광포 설화(廣布說話)의 하나이다.

이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새끼 사슴의 구원’, ‘목동의 날개옷 획득’, ‘목동과 선녀의 혼인’, ‘목동과 선녀의 재회’, ‘천자의 난제 제시’, ‘목동의 난제 해결’, ‘부부의 지상 하강’ 등 다양하다.

목동은 새끼 사슴을 구해준 후 선녀의 날개옷을 훔쳐 그녀와 결혼한다. 목동이 새끼 사슴을 구해주고 이로 인해 선녀와 결혼한 방법을 얻었다는 점에서 동물 보은담(動物報恩譚)으로 이해된다.

또한 「목동과 선녀」는 지상의 목동과 천상의 선녀가 결혼하고 목동이 천상으로 올라간다는 신이담(神異譚)이자 이계담(異界譚)이기도 하다. 결말에서 백두산의 한인들이 목동과 선녀의 자손이라는 점에서 시조 신화로서의 성격 또한 지닌다.

참고문헌
  • 손진태, 『조선 민족 설화의 연구』(을유 문화사, 1947)
  • 배원룡,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집문당, 1993)
  • 최인학, 『백두산 설화』(밀알, 1994)
  • 국립 민속 박물관 편,『한국 민속 문학 사전』(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임채완 외, 『근현대 중국 조선족 문헌집』(북코리아, 2012)
  • 배영진, 『김덕순 고사집』(상해 문예 출판사, 1983)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편 『김덕순 민담집』(보고사, 2010)
관련항목
이전 TOP